뉴스
"연구진"(으)로 총 7,5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카푸치노 양, 삼겹살 2배 돼지…유전자 가위가 만든 신(新) 동물열전2016.06.17
- 월등히 높은 돼지도 선보였다.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이 이끄는 연구진은 윤희준 중국 옌볜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일반 돼지보다 근육량이 많은 ‘슈퍼근육 돼지’를 만들어 지난해 공개했다.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근육 성장을 억제하는 유전자 ‘마이오스타틴’을 ... ...
- 내년부터 軍 발칸포 사격훈련, 컴퓨터로 평가한다2016.06.16
- 취약점을 개선하는 데 활용 가능하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안보기술개발단 연구진이 개발한 ‘발칸 추적 훈련 분석기’의 모식도. 이 시스템은 발칸포 사격훈련 중 사수(射手)가 모의표적을 얼마나 정확하게 맞췄는지 등을 컴퓨터로 분석해 실시간으로 평가 결과를 제공해 준다. - KIST 제공 ... ...
- 세포가 스스로 ‘청소’하게 만드는 메커니즘 첫 규명2016.06.16
- 생각하고,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여하는 ‘히스톤’ 단백질에 주목했다. 이에 연구진은 영양분이 부족한 상황에서 히스톤 단백질이 어떻게 변형되는 지를 관찰했다. 그 결과, 히스톤 단백질 변형을 유도하는 ‘CARM1’ 단백질의 양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CARM1 단백질이 ... ...
- 아인슈타인은 역시 옳았다2016.06.16
- 말 라이고의 민감도를 높여 지금보다 1.5~2배 넓은 영역의 우주를 탐사할 계획이다. 한국 연구진은 라이고 실험에서 얻은 데이터 분석과 장비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등 기존 임무를 이어간다. 이 단장은 “넓은 우주를 뒤지는 만큼 다양한 종류의 블랙홀이나 중성자별을 발견하게 될 것”이라며 ... ...
- “암흑물질이 6600만 년 전 공룡을 멸종시켰다”2016.06.15
- 2012년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 입자를 발견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는 물론 국내 연구진도 암흑물질을 찾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암흑물질의 후보로는 윔프(WIMP), 액시온 등이 꼽힌다. 랜들 교수는 “윔프든, 액시온이든 현재 거론되는 여러 암흑물질의 후보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 ...
- 드론 공격 막는 도심형 레이더 개발2016.06.15
- 출력 수준으로 인체에 무해해 도심에서도 충분히 드론 탐지에 활용할 수 있다. 현재 연구진은 국내 방위산업체 등과 다목적 소형 저고도레이더, 민군 겸용 투과형레이더 등의 공동연구를 진행해 국산 레이더 기술의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먼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최대 반경 10㎞ 내에서 ... ...
- “양자 컴퓨터 실용화 길 열렸다”2016.06.14
- 하지만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에너지가 많이 필요해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연구진은 위상절연체 물질로 주목받는 ‘비스무스셀레나이드(Bi2Se3)’에 비스무스(Bi) 층을 한 겹 더 삽입하는 방법으로 위상절연체 표면의 전자움직임을 제어하는데 성공했다. 양자컴퓨터에 저장된 정보가 ... ...
- 차세대 반도체 소재 ‘흑린(검은색 인)’이 뜬다2016.06.14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측정센터 책임연구원 - K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각광 받는 흑린과 관련된 연구성과를 잇따라 발표했다. 흑린은 검은색 인(P)이 2차원 평면으로 결합된 물질이다. ‘꿈의 소재’로 불리던 그래핀이 활용 과정에서 주춤하는 사이 ... ...
- 수명 다한 태양전지, 간단히 씻어서 재활용한다2016.06.14
- 광 흡수층의 뼈대를 형성하는 납과 잘 결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연구진은 세척 공정을 거친 투명 전도성 기판을 재활용해 태양전지를 제작했더니 새 태양전지와 동등한 수준의 성능을 보인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정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 ...
- 그래핀 대체할 2차원 고분자 나온다2016.06.14
- ‘2차원’ 평면 상태로 만들어야 하는데 지금까지는 ‘선’ 형태로만 존재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2D PANI’는 선 형태의 폴리아닐린보다 전기전도성이 100억 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염화수소(HCI)로 도핑하는 공정을 거친 뒤에도 전도성이 1960배나 뛰어났다. 백 교수는 ... ...
이전5175185195205215225235245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