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69건 검색되었습니다.
희귀금속인 백금族 금속, 손쉽게 재활용한다
2016.06.13
원자 크기가 비슷한 백금과 로듐을 분리해내기 어려워 걸림돌이 됐다.
연구진
은 기존에 백금과 로듐을 분리 추출할 때 많이 쓰던 ‘크라운 에테르’ 화합물에 아민계 추출제를 함께 사용하면 백금과 로듐을 3배 이상 잘 분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라제쉬 쿠마 연구원은 “이 같은 ... ...
최대 8배까지 늘어나는 투명전극 개발
2016.06.13
윤석구 고려대 기계공학부 교수(왼쪽)와 논문 제1저자로 참여한 안성필 연구원. - 고려대 기계공학부 제공 8배까지 쭉 늘려도 끄떡없이 전기가 흐르는 유연한 투명전극이 개발됐다. 윤석구 고려대 기계공학부 교수팀과 알렉산더 야린 미국 일리노이대 교수팀은 공동으로 고분자 나노섬유에 구리를 ... ...
효율-수명, 두마리 토끼 한번에 잡은 태양전지 나왔다
2016.06.13
넣어 효율과 수명 문제를 동시에 해결했다. - 부산대 제공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진
은 전극 층 사이에 자체 개발한 고품질 박막인 ‘피오타즈(PO-TAZ)’를 집어넣었다. 산화아연으로 이뤄진 이 박막은 전자와 정공이 분리됐을 때 전자를 전극으로 빠르게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실제로 ... ...
차세대 ‘인공와우’ 원천기술 개발
2016.06.13
기존 인공와우는 가청주파수 외 신호까지 잡아내 잡음이나 이명의 원인이 됐다.
연구진
은 이 인공기저막을 이용해 실험용 인공와우를 제작하고 기니피그(쥐를 닮은 실험동물)를 이용해 실험을 진행한 결과 실제로 청력 복원기능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 ...
살아있는 두뇌 속 실시간 관찰 ‘두개골 윈도’ 개발
2016.06.13
국내
연구진
이 살아 있는 동물의 뇌 속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치료까지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김성기 기초과학연구원(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장(사진)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팀은 유연하고 투명한 플라스틱을 이용한 ‘두개골 윈도’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의학계는 살아있는 ... ...
박스 오리면 ‘레고’ 변신…국제 디자인대회 최우수상 수상
2016.06.12
대학
연구진
이 고안한 포장 아이디어가 국제 디자인 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제임스 셀프 울산과학기술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팀은 ‘2016 코어77 디자인 어워즈’에 출품한 ‘토이 박스(Toy Box)’가 ‘오픈 디자인’ 학생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포장’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 ...
“장내미생물이 뇌 자극해 살찌게 만들어”
2016.06.12
지방산의 한 종류인 ‘아세테이트’가 세포 안에 지방이 쌓이도록 한다는 것이다.
연구진
은 고지방식을 먹인 실험쥐의 장내에서 장내미생물이 변하고, 이들이 생산하는 아세테이트의 양이 늘어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아세테이트의 분비량이 늘면 심장 박동이나 소화와 같은 무의식적인 조절 ... ...
한국 국토의 89.4%는 ‘빛 공해’ 지역
2016.06.12
분석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10일자(현지 시간)에 발표했다.
연구진
은 미국의 관측 위성인 ‘수오미(Suomi) NPP’를 이용해 우주에서 지구의 밤하늘을 촬영해 국가별 인공조명의 밝기를 측정했다. 그 결과 전 세계의 80% 이상은 빛 공해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2 ... ...
대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기록 갱신
2016.06.10
필요하다. 하지만 대형화하는 과정에서 박막의 균일성이 떨어져 효율이 감소한다.
연구진
은 진공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박막을 제조하는 방식으로 박막을 균일하게 제작하면서도 효율은 유지하는 새로운 기법을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현재 태양전지 효율을 공식적으로 기록하는 미국 ... ...
반지의 제왕 ‘프로도’는 인류의 조상일까
2016.06.09
두뇌가 쪼그라드는 유전질환에 걸린 인류의 조상일 것이라는 추측이 주를 이뤘다.
연구진
은 LB1 화석을 컴퓨터단층촬영(CT)과 3D 모델링을 통해 복원한 결과 호빗은 인류의 조상이 아니라는 의견을 내놨다. 성인이 된 상태의 LB1의 키는 1.09m 가량으로 추정되지만,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작은 ... ...
이전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