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6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 6월호] ‘인체 플랫폼’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6.05.27
전극을 꽂아 직접 전기신호를 받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진
이 근전도 신호로 로봇의 팔을 움직이고 있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김기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로봇연구단 책임연구원은 “신경 신호를 직접 활용하기 위해서는 신경 다발의 질긴 표피를 ... ...
내가 먹은 닭고기엔 항생제 얼마나 들었나
2016.05.27
왔다.
연구진
은 이런 검사법이 올바른지 판단할 수 있도록 인증표준물질을 개발했다.
연구진
은 항생제 두 종류를 사료에 섞어 먹이면서 사육한 닭을 가공한 뒤 잔류 항생제 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두 항생제의 함량이 각각 4.5%(엔로플록사신)와 3.49%(시프로폴록사신)의 오차 ... ...
땅에 뿌리박은 가지, 살을 주고 뼈를 취하는 생존전략은?
2016.05.26
알에서 부화한 후 줄기를 타고 올라오는 벼룩잎벌레의 애벌레들도 다 잡았습니다. 결국,
연구진
은 처음 추정한 내용을 실험을 통해 확인했습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자연 속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동식물의 상부상조를 한 번 더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누가 이러한 자연의 법칙을 만든 것인지 ... ...
날 먹으면 넌 죽게 될거야!! 초음파로 박쥐를 속이는 나방
2016.05.25
초음파를 내는 진동막 기관 - 플로스원 제공 생물학 석사 과정중인 닉 다우디와 동료
연구진
이 자연에서 현장 조사한 바에 따르면, 불나방들은 박쥐에게 강력한 초음파 신호를 보내 그들이 맛 없게 느껴지도록 교란시킨다고 합니다. 불나방의 이러한 ‘청각적 경계 태세’는 2007년 웨이크 포레스트 ... ...
차세대 이차전지 효율 획기적으로 높였다
2016.05.24
개발한 액상 촉매 DMPZ(주황색 별)가 작용하는 원리를 나타낸 모식도. - 서울대 제공
연구진
은 기존에 알려진 몇 가지 액상 촉매들의 공통점을 컴퓨터로 계산한 뒤, 이를 기반으로 이론적으로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는 촉매를 설계했다. 그 결과 새롭게 개발된 ‘DMPZ’라는 액체 촉매를 리튬-공기 ... ...
美 억만장자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진실 공방
2016.05.24
밝혔다. ● NASA “천문학 분야 非전문가의 잘못된 지적” 반박 그러나 NASA
연구진
은 이 같은 지적을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박하고 있다. 네다 라이트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교수는 “WISE로 얻은 관측 결과는 ‘아이라스(IRAS)’와 ‘아카리(AKARI)’ 등 다른 적외선 탐사 우주망원경의 ... ...
건물이 살짝 기울어졌네? 미세한 변화 감지하는 압력센서 개발
2016.05.24
파장 변화를 보였다. 기존 레이저는 0.6nm 정도로 작은 파장 변화를 보이는 데 그쳤다.
연구진
은 이 레이저를 적용한 압력센서를 개발해 0.5% 미만의 미세한 압력 변화도 측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산성도(pH) 변화에 따라 부피가 변하는 하이드로겔을 장착해 산성도 변화 역시 파악할 수 ... ...
유전체 데이터도 ‘구글링’해서 설계한다
2016.05.23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뉴클레익액시드 리서치’ 6일자에 실렸다.
연구진
은 관련 기술을 웹사이트(http://MRPrimerW.com)을 통해 무료로 공개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김민수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왼쪽)와 구재형 뇌·인지과학전공 교수 공동연구팀은 빅데이터 기술을 ... ...
다운증후군 만드는 단백질, 다른 지적 장애와도 관련 있다
2016.05.23
훨씬 많이 회전하고 뇌 신경세포가 제자리를 찾지 못하는 이상 증세를 보였다. 또
연구진
은 이 유전자가 다른 지적 장애 유발 단백질과도 상호작용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DSCR1 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된 생쥐에서 X-염색체 증후군을 유발하는 ‘FMRP’ 단백질을 억제하자 뇌 신경세포가 제자리를 ... ...
내 콧구멍은 왜 클까? “유전자 때문”
2016.05.22
코의 모양은 날씨와 같은 환경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추정이 주를 이뤘다.
연구진
은 남아메리카에 거주 중인 유럽인, 미국인, 아프리카인의 유전 정보를 분석해 코의 모양이 환경적 요인이 아니라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참가자 6630명의 사진을 찍고 이를 3차원(3D) ... ...
이전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