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69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운증후군 만드는 단백질, 다른 지적 장애와도 관련 있다
2016.05.23
훨씬 많이 회전하고 뇌 신경세포가 제자리를 찾지 못하는 이상 증세를 보였다. 또
연구진
은 이 유전자가 다른 지적 장애 유발 단백질과도 상호작용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DSCR1 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된 생쥐에서 X-염색체 증후군을 유발하는 ‘FMRP’ 단백질을 억제하자 뇌 신경세포가 제자리를 ... ...
내 콧구멍은 왜 클까? “유전자 때문”
2016.05.22
코의 모양은 날씨와 같은 환경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추정이 주를 이뤘다.
연구진
은 남아메리카에 거주 중인 유럽인, 미국인, 아프리카인의 유전 정보를 분석해 코의 모양이 환경적 요인이 아니라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참가자 6630명의 사진을 찍고 이를 3차원(3D) ... ...
‘광유전학’ 치료 첫 임상시험 순항 중
2016.05.22
생성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쥐와 원숭이 등 동물실험에서 이미 효과가 입증됐다.
연구진
은 앞으로 2년 간 임상시험을 하면서 환자의 상태를 추적할 계획이다. 첫 시험 결과는 올해 말 나올 전망이다. 신 에인스워스 레트로 테라퓨틱스 광유전학 임상시험 총괄책임자는 “우리 연구 결과가 ... ...
박테리오파지는 숙주에 어떻게 침투하나
2016.05.22
밀착되면, 꼬리가 수축하면서 머리에 있던 DNA가 곧장 박테리아로 옮겨갈 수 있게 된다.
연구진
은 이런 침투 과정에 관여하는 기작이 모든 T4 박테리오파지에서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레이만 교수는 “T4 박테리오파지의 숙주 침투 방식은 한 가지라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이번 ... ...
드론, 날다 지치면 잠시 쉬어가렴~
2016.05.20
드론이 다시 임무를 수행할 때에는 줄을 끊고 날아오르면 된다.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진
은 독수리의 착륙 기술을 본떠 1㎏급 정찰용 드론을 벽에 착륙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드론에 달린 카메라가 벽을 인식하면 비행 속도를 천천히 줄인 뒤 벽면을 따라 기어 올라가듯 이동하도록 했다. 드론 ... ...
척수도 출력이 되나요? 3D 바이오프린터의 세계
2016.05.20
서로 연결해 ‘인공 신체’를 구현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아직 초기 단계인 만큼
연구진
은 ‘오가노이드’로 불리는 초소형 장기를 만들어 시험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간과 심장을 찍어 내는 데 성공했다. 길이가 0.25㎜인 심장은 전기 자극을 받으면 뛰고, 박동 속도는 실제 심장과 동일하다. ... ...
암-발달 장애 관여하는 단백질 확인
2016.05.18
모두 억제되면 초파리의 두뇌가 정상(e)일 때처럼 성장하지 못한다(오른쪽). - KAIST 제공
연구진
은 초파리를 이용해 토르 신호전달체계에 관여하는 두 단백질인 ‘Tctp’와 ‘Rheb’의 상호작용을 분석했다. 그 결과 두 단백질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하는 ‘14-3-3’ 단백질을 발견했다. 이 단백질이 ... ...
유방암, 유전 없이도 발병하는 이유 발견
2016.05.18
참여한 황정진 울산의대 교수(왼쪽)와 김청수 교수. -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유전의 영향 없이 후천적으로 유방암이 발생하는 원리를 찾아냈다. 황정진, 김청수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교수팀은 암의 발생을 막는 유전자가 후천적으로 작동이 저해될 경우 유방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 ...
방울뱀 허물로 스스로를 보호하는 다람쥐
2016.05.18
민감하게 감지하는 적외선을 꼬리에서 내보내며 방울뱀을 혼란스럽게 한다는 것이지요.
연구진
은 딸랑거리는 소리를 내며 공격해 들어오는 방울뱀을 향해 다람쥐가 자신의 꼬리를 이리저리 휘저으며 위협하는 과정에서 꼬리가 점점 뜨거워지는 것을 적외선 카메라 촬영을 통해 확인했다고 합니다. ... ...
기린 목은 왜 길어졌나
2016.05.18
다른 동물에게는 독성물질이지만 영양분이 풍부한 아카시아 잎을 주식으로 삼는다.
연구진
은 아카시아 잎을 소화할 수 있는 기린의 대사능력 역시 이 유전자의 영향일 것으로 예상했다. 모리스 교수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쥐에게 FGFRL1 유전자를 삽입한 후 목이 길게 자라는지 ... ...
이전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