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기는 생후 8개월까지 눈으로 언어를 구별한다
과학동아
l
200707
주목했지만, 영어만 쓰는 집 아기는 더 이상 언어의 변화를 알아채지 못했다.바이쿰
교수
는 “어떤 아기든 언어가 바뀔 때 화면에 더 집중하는 현상은 아기가 매일 듣는 말에 관계없이 입 모양의 변화만으로 새로운 언어를 인식한다는 증거”라며 “아기들의 언어 인식력이 8개월 뒤 아예 사라지는지 ... ...
스스로 치료하는 플라스틱
과학동아
l
200707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플라스틱이 나왔다.미국 일리노이대 낸시 소토스
교수
팀은 균열이 생겼을 때 스스로 치료하는 ‘자가치유 고분자’를 만들어 ‘네이처 머티리얼’ 온라인판 6월 10일자에 발표했다. 완전히 스스로 작동하는 자가치유 고분자 개발은 이번이 처음이다.연구팀은 ... ...
PART1 생로병사 마스터키
과학동아
l
200707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일본 기푸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치료과 타나카 마사시
교수
팀은 장수촌에 사는 100세 이상의 일본인은 공통적으로 미토콘드리아 DNA만이 만들 수 있는 아미노산을 몇 가지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 2004년 신경학 저널에 발표했다. 특히 일반인과 장수인은 미토콘드리아 ... ...
PART2 꼭꼭 숨어있는 빛까지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0707
태양에너지는 활용하지 못한 채 그대로 버렸던 셈이다.2002년 미국 UC버클리의 알리비사토
교수
팀과 오스트리아 요하네스케플러대의 린츠 연구그룹은 무기나노입자와 폴리싸이오펜이라는 유기물질을 섞어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일부 흡수하는 최초의 유기태양전지를 만들었다. 기대했던 만큼 높은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07
된장을 담는 항아리에 숯을 띄운 건 조상들의 오래된 지혜다. 이렇게 하면 숯이 오염 성분을 걸러내는 ‘필터’ 역할을 해 된장을 장기간 보존할 ... 것이다. 그의 연구가 객관적으로 인정받은 셈이다. 한국 과학기술의 ‘기관차’인 유
교수
팀이 내놓을 다음 성과에 벌써부터 눈길이 쏠린다 ... ...
매클롱 강과 인간의 공생 전략
과학동아
l
200707
강은 대나무가 섞인 숲이 전체 강 유역의 57%를 차지할 정도로 그 비율이 높다. 신투나와
교수
는 “대나무는 홍수가 나면 물을 빨아들였다가 가뭄이 들면 물을 내놓아 매클롱 강의 수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며 대나무 숲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대나무 숲 사이로 난 길을 따라 곳곳에 야생동물의 ... ...
거미줄 유전자의 비밀이 풀리다
과학동아
l
200707
수학
교수
로 8년간 재직하고 스위스로 돌아와 바젤 대학의 해부학 · 식물학 · 물리학
교수
를 역임했으며 그 후에는 프랑스의 파리 학사원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영국의 물리학자이며 화학자인 J F 다니엘이 1820년에 고안한 노점습도계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기기이다 길이가 다른 두 다리를 가진 ... ...
공정시스템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07
이 결과는 2006년 5월 생물정보학 관련 국제학술지 ‘바이오인포메틱스’에 소개됐다.박
교수
는 “2003년 개발한 대사흐름분석프로그램인 ‘메타플럭스넷’(MetaFluxNet)과도 연동해 업그레이드된 버전의 웹셀을 개발할 예정”이라며 “이는 유전자와 단백질, 세포 수준에서 모든 대사과정을 통합하는 ... ...
거짓인 줄 알면서도 귀신을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07
신경상관학회는 올해의 착시 현상을 선정했다. 미국 버크넬대 심리학과 아더 사피로
교수
는 같은 물체라도 색이 선명할 땐 움직임이 없다가 색이 흐릿해지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장면을 제시해 3위에 올랐다. 그가 발견한 착시자극원리를 이용하면 어두운 숲 속에서 나뭇가지에 찰싹 붙은 ... ...
동물과 대화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7
수 있다면 정말 신기하겠죠?최근 이런 실험이 성공했어요.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신형철
교수
팀과 서울대학교 초미세생체전자연구센터는 강아지의 뇌에 컴퓨터와 연결된 미세전극을 심었지요. 그 결과 뇌에서 나온 강아지의 생각을 스피커를 통해‘사랑해요’,‘배고파요’,‘저 귀엽죠’와 같은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