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인간 가능하려면
과학동아
l
200706
다치
교수
팀이‘광학적 위장기술’을 이용해 비옷처럼 생긴 투명망토를 만들었다.다치
교수
팀이 만든 투명망토의 비밀은‘역반사 물질’로 밝혀졌다. 거울처럼 매끈한 표면에 입사한 빛은‘반사의 법칙’에 따라 입사각과 같은 각을 이루며 반사된다. 또 거친 표면에 부딪힌 빛은 여러 방향으로 ... ...
폴짝, 공포 뛰어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6
하지만 무서운 것을 이기고 싶다면 집중!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신의진
교수
님이 공포를 이기는 방법을 알려 주신대. 폴짝, 공포를 뛰어넘어 보자구!1 서서히 친해지자무서운 대상과 천천히 친해지면 더 이상 무섭지 않답니다. 개가 무서운 친구라면 처음엔 개 사진을 보면서 개에 천천히 ... ...
3대가 모여 있는 대가족 성단
과학동아
l
200706
불규칙 왜소은하로 알려진 NGC1705에는 젊은 별과 늙은 별이 동시에 존재한다. 피오토
교수
는 “여러 세대가 동시에 존재하는 구상성단을 연구해 수십억년 전 우리은하의 탄생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정자 DNA손상시키는 당뇨병
과학동아
l
200706
당뇨병 환자가 불임 문제를 겪는 이유가 밝혀졌다.영국 퀸스대 I.M. 아그바제
교수
팀은 당뇨병 환자의 정자가 정상인보다 손상됐다는 사실을 유전자 차원에서 밝힌 연구를 영국 옥스퍼드대 생물학 전문지 ‘휴먼 리프로덕션 온라인판’ 5월 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남성 당뇨병 환자 27명과 DNA ... ...
PART2 암 잡는 나노메디신
과학동아
l
200706
극비로 진행된 초소형 테스트에서 비행선 조종을 맡게 된 다크 펜델톤. 그는 눈에 보이지도 않을 만큼 작아진 원형 비행선을 타고 주사기를 통해 잭의 몸에 들어간다. 다크는 모니터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전달받으며 잭의 혈관 속을 이리저리 돌아다니다가 레이저 광선으로 암세포를 제거하기도 ... ...
PART2 기후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
과학동아
l
200706
태풍으로 성장했다. 태풍을 키운 건 8할이 뜨거운 바다였다.”부경대 대기과학과 오재호
교수
는 2003년 발생했던 태풍 매미가 2100년 한반도에 상륙한다고 가정하고 태풍의 강도를 예측했다. 해수면 온도를 제외한 다른 조건을 모두 동일하게 유지했더니 뜨거운 바다에서 태어난 미래의 태풍은 ... ...
PART3 DNA로 논리 문제 풀기
과학동아
l
200706
원래 입력값인 101의 세 번째 비트 1과 다시 XOR 연산을 하면 최종 결과는 0이 된다.두
교수
는 세 개의 DNA 가닥으로 구성된 다양한 모양의 ‘DNA 타일’을 만들었다. 그런 다음 이 타일에 순차적 XOR 연산을 적용했다. 이때 이들은 순차적 XOR 연산이 이뤄지는 과정을 DNA 타일이 자기조립되는 과정으로 ... ...
파일럿이 두려워하는 메가번개
과학동아
l
200706
핵심은 수천개의 반도체 초미세거울과 2개의 바늘구멍이 결합된 카메라다.박
교수
는 “이 망원경을 이용하면 처음엔 지름 200km의 넓은 영역을 바라보다 특정 위치에서 메가번개가 출현하면 바로자세히 촬영할 수 있다”며 “초당 10만장을 찍을 수 있어 메가번개의 비밀을 상당부분 밝힐 수 있을 ... ...
입 속 건강 알림이 침
과학동아
l
200706
치료가 힘든 구강암을 침으로 진단할 수 있다. 2005년 7월 미국 포사이스 연구소 도나 마거
교수
팀은 침 속 DNA를 분석해 입점막암 환자의 80%에 공통으로 들어있는 침 속 박테리아 3종류를 발견했다. 보통 구강암 환자들은 발병사실을 뒤늦게 알기 때문에 환자의 절반이 완치되지 못한 채 사망한다. 마거 ... ...
유전자 상호작용으로 아토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06
프로젝트다. 게놈기능제어연구단은 물론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기회가 아닐 수 없다.김
교수
는 “1990년 게놈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을 때 우리나라에는 그 중요성을 아는 연구자가 많지 않았다”며 “당시 연구에 참여했다면 생명과학의 수준을 크게 발전시킬 수 있었을 것”이라고 ... ...
이전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