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강력한 빛을 내는 레이저, 빛을 왜곡 없이 반사시킬 수 있는 거울 등 다양한 기술이 함께 개발됐답니다. 중력파, 어떻게 활용될까?많은 과학자들은 왜 중력파를 발견하려는 걸까요? 첫 번째 이유는 ‘호기심’ 때문이에요. 중력파는 진짜로 있는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등 아인슈타인이 말했던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효과가 있다고 해도 그 차이는 매우 사소할 거예요. 따라서 P-value만 믿고 마치 통밀빵 20개만 먹으면 암을 예방할 수 있는 것처럼 이야기해서는 안 됩니다. 연구 결과를 볼 때 이런 문제점은 없는지 한 번 살펴보세요. 연구가 과장되지는 않았는지, 이런 결과를 가져온 다른 이유가 있는 건 아닌지 ... ...
- [소프트웨어] 복불복 룰렛의 기댓값 구하기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사람에게 푸짐한 상품을 드립니다. 게임의 방법은 간단합니다. 여기 칸의 개수가 다른 두 개의 룰렛 중 하나를 선택한 다음 저와 대결을 벌이면 됩니다. 룰렛이 분홍색 칸에 멈추면 점수가 올라가는데요. 8칸 룰렛은 100점, 4칸 룰렛은 50점을 얻습니다. 당신은 어떤 룰렛으로 게임에 참여하겠습니까 ... ...
- [수학동아 클리닉] 유레카! 부력의 원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40만 개를 녹여 팔려다가 한국은행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체포됐다. 10원짜리 동전 한 개에 들어있는 구리의 가치가 약 30~40원이었기 때문이다. 주물업자는 구리와 아연의 합금인 10원짜리 동전에 구리가 얼마나 포함돼 있는지 어떻게 알았을까?10원짜리 동전 속 구리의 비율은?2300년 전, 그리스의 ... ...
- [수학동아클리닉] 단위로 알아보는 겉넓이와 부피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점을 이용하면 더 간단히 겉넓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직육면체의 전개도를 활용해 2개의 밑면과 옆면의 넓이의 합을 더하면 됩니다.길이를 잴 때 단위길이를 이용하고 넓이를 구할 때 단위넓이를 이용하는 것처럼, 부피를 구할 때에도 단위부피를 이용합니다. 가로와 세로가 각각 2배씩 늘어나면 ... ...
- [Editor’s Note] 역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5월호에서는 유전 부호를 설계해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 합성생물학을 특집으로 소개했다. 굳이 분류하자면 각각 기계의 인간-되기, 생명의 기계-되기라고 부를 수 있는 주제였다. 그리고 이제 6월, 또 하나의 놀라운 흐름을 짚는다. 인간 안에 기계를 심고, 몸의 일부를 인공물로 대체하는 인체 ... ...
- [과학뉴스] 오로라의 원인 ‘자기 재결합’ 첫 관측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이번이 처음이다.4개의 위성으로 구성된 MMS는 피라미드 대형으로 지구 궤도를 돌며 25개의 센서로 우주의 입자들을 관측했다. 그 결과 자기 재결합이 발생하는 영역에서 전자가 유(U)턴하듯이 움직인다는 사실도 추가적으로 밝혀냈다.NASA는 “MMS의 대형을 조절해 입자들의 움직임을 좀 더 구체적으로 ... ...
- [News & Issue] 가습기 살균제 사태, 노출계수를 따져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우려되는 17가지 생활화학제품군이다(‘화평법 대비 화학물질 안전성평가 핵심기술 개발’, 국립환경과학원, 2014). 이중에는 평소에 자신이 사용하고 있었는지조차 몰랐던 제품군들이 많다.방향제도 그 중 하나다. 제품 특성상 밀폐된 방안에서 사용하거나, 자동 스프레이 등을 통해서 24시간 ...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쉬운 일은 아니에요. 풍랑주의보가 발령되면 아예 배를 띄울 수가 없잖아요. 비가 오거나 개가 껴도 바다 한가운데 닻 내리고 가만히 기다려요.”류동균 기상1호 선장이 호탕하게 웃으며 말했다. 한번 바다로 나가면 열흘에서 2주가량 항해하는데, 날씨가 좋은 날만 관측할 수 있다. 운항 기간의 대략 ...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엇갈렸다. 우리나라에도 시체농장과 같은 시설이 만들어져 체계적인 연구를 했다면 두개골 하나가 그렇게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진 않았을 거라 생각한다. 뼈는 거짓말을 하지 않으며 사건 당시의 정황을 재구성하는 데 뼈만큼 강력한 증거는 없다. 다만 뼈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정확히 듣기 ... ...
이전5105115125135145155165175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