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포항 가속기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있었죠.“우리가 따라가는 이 길은 전자가 이동하는 길과 같아요. 전자총에서 10억 개의 전자를 쏘면 그때부터 전자는 이 관을 통해 이동하죠. 금색 관에서는 전자가 점점 속도를 높이며 이동하고, 금색 관보다 조금 가는 은색 관에서는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움직여요. 금색 관에는 마이크로파가 ... ...
- [출동! 섭섭박사] 살아 움직이는 라바램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있나요? 두 액체가 섞이도록 통을 마구 흔들어도 물은 물끼리, 기름은 기름끼리 모여 두 개의 층이 만들어지지요. 그 이유는 두 액체 분자의 화학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에요.물질은 분자가 붙어 있는 구조에 따라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띠는 전기적인 성질을 갖게 돼요. 그런데 구조가 한쪽으로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사용했어요. 직선이 휠 거라고는 생각지 못했거든요. 강연 직후 당장 정사각형이 여러 개 늘어선 격자에서 가로, 세로 길이를 조금씩 바꿨어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더 큰 사각형을 이어 붙인 것이지요. 그러니까 이 사각형들이 뒤틀려서 2차원 평면에 있지 못하고 3차원으로 확장이 ...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여러 나라 숫자로 수학시계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수의 역사를 통해 정수와 유리수 체계를 배운 뒤, 과거 다양한 문명에서 등장한 숫자를 소개하고 직접 써보도록 한다. 여러 나라 숫자를 써 보면서 인도-아라비아 숫자의 장점을 이야기해본다. 또한 수학이 처음부터 완벽하게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많은 시간과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점차 발전한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해저 지형을 유추한 연구 결과를 2008년 발표했다(doi:10.1121/1.2963048). 수심 별로 여러 개의 수중음향센서를 설치하면 파도 소리가 시간차를 두고 녹음된다. 해수면에서 바로 전파된 음도 있지만, 해저면을 맞고 돌아온 소리도 있다. 이를 분석하면 수심을 추정할 수 있다. 계산 결과는 실제 수심을 잘 ... ...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양모인 ‘마타타’라는 암컷보노보 침팬지가 선발돼 훈련을 받고 있었고, 당시 칸지는 9개월짜리 수컷 새끼였다. 아쉽게도 마타타는 수업에 큰 관심이 없었는데, 어느 날 연구원들은 수업에 늘 동행했던 칸지가 렉시그램을 이용할 줄 안다는 것을 발견했다. 마타타의 어깨 너머로 언어를 독학했던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太)’는 ‘대(大)’ 두 개를 위 아래로 붙여서 표현했어요. 이후 아래쪽의 ‘대(大)’ 한 개가 점으로 바뀌었답니다.태양의 ‘양(陽)’은 ‘언덕’이라는 의미의 ‘언덕 부(阝)’와 빛을 뜻하는 ‘볕 양(昜)’이 합쳐진 글자예요. ‘볕 양’은 ‘아침 단(旦)’이 변형된 글자로, 땅 위에 해가 뜨는 모양 ... ...
- [수학뉴스] 해저 지도를 만드는 드론이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방향으로 직진 이동이 가능합니다.싸이클롭은 수중에서 가상의 격자 위에 놓인 수백 개의 지표를 따라 이동하며 자동으로 사진을 촬영합니다. 그래서 육지에서 찍은 이미지만큼 높은 화질의 수중 지형 데이터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3차원 수중 지형도를 만든 뒤 3D프린터로 실제 지형을 ... ...
- 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60진법을 썼다. 12진법과 10진법도 함께 사용했지만, 19세기 초반 발견된 약 500개의 바빌로니아 점토판에는 60진법을 나타내는 쐐기문자가 새겨져 있는 게 대부분이다.왜 바빌로니아인은 복잡한 60진법을 사용했을까? 확실히 밝혀진 이유는 없다. 학자들은 여러 가지 추측만 내놓을 뿐이다. 60의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염기로 원하는 유전자를 한번에 합성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런 이유로 수십 개의 염기쌍을 화학적으로 합성한 뒤, 이 조각들을 연결해 큰 조각을 만든다. 이를 ‘유전자 조립(gene assembly)’이라고 부른다.조립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최근 가장 주목을 받는 건 효모를 이용한 ... ...
이전5135145155165175185195205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