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결정적인 증거로 찾고 있다. 에클로자이트는 대륙충돌로 인해 깊이 들어간 지각
물질
이 지하 약 50km 이상 깊이의 높은 압력에서 만들어진다.암석학적으로 한반도 충돌설이 제기된 것은 1995년 고압변성광물조합이 임진강습곡대에서 발견되면서부터다. 북중국지괴와 남중국지괴의 충돌대 경계가 ... ...
4층 높이 전자현미경 대덕에 등장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항공우주소재처럼 극한 상황에서 견딜 수 있는 신
물질
을 개발하는데도 활용 가능하다.크지만 예민하다그러나 이 현미경은 덩치에 어울리지 않게 무척 예민하다. 장비가 설치된 건물을 비롯한 주변 환경이 분해능과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일본 ... ...
꿈꾸고 성공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심장에도 마찬가지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알아냈다. 이 실험은 신경신호 전달이 화학
물질
에 의한 것임을 발견한 것으로 1936년 뢰비에게 노벨 생리·의학상을 안겨줬다. 뢰비는 이 실험에 대한 힌트를 꿈에서 얻었다고 밝혔다. 그는 1921년 부활절 밤 꿈에서 뭔가를 보고 비몽사몽간에 종이에 적은 뒤 ... ...
살아있는 물리학의 신화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입자들로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이 논쟁에 종지부를 찍었다. 쿼크는
물질
의 형태를 만드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로,
물질
-분자-원자-소립자-쿼크의 구도를 이룬다. 그는 이 발견으로 주기율표를 만든 멘델레예프에 비유돼 ‘20세기의 멘델레예프’라고 불렸으며, ‘소립자들의 분류와 ... ...
배움은 뇌 구조를 변화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현상이 일어나면 기존에 있던 시냅스에서 신경전달
물질
이 더 많이 분비되거나, 신경전달
물질
과 결합하는 수용체 수가 많아진다. 그러면 정보를 더 오래 기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랫동안 반복적인 학습을 하면 시냅스 수가 많아진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 시냅스가 많아지면 전체 뉴런의 부피가 ... ...
여왕의 명령은 알에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일개미들은 여왕개미의 알이더라도 일개미의 알에 묻어있던 화학
물질
이 있는 경우 주저없이 파괴했다. 반대로 여왕의 흔적이 있는 일개미 알은 잘 보살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 국립과학원회보’(PNAS) 3월 2일자에 게재됐다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늘어서 자석의 성질을 나타낸다이웃한 전자들의 스핀이 번갈아 반대방향으로 배열된
물질
크롬이나 망간이 대표적인 예다이미지를 변화시키는 컴퓨터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두 장 이상의 사진에서 각각의 특징을 일대일대응시켜 변환한다 사람을 동물로 변화시키거나 남자와 여자의 얼굴을 ... ...
08. 백두산 화산재 일본을 뒤덮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분출하면서 형성됐기 때문이다. 폭발적으로 화산이 분출하는 바람에 산꼭대기 분화구의
물질
들이 날아 가버리고 함몰돼 칼데라 호수로 변해버린 것이다.특히 1215년의 화산분출이 매우 폭발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중국 기록에 따르면 남부지역인 광동성 일대에 하늘이 어두워지면서 ... ...
퀴리부부, 라듐의 존재를 입증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7월과 12월, 두 사람은 공동명의로 ‘콩트 랑뒤’라는 학술지에 섬우라늄광에서 분리한
물질
속에 마리의 모국 폴란드의 이름을 딴 ‘폴로늄’과 광선(ray)에 해당하는 라틴어를 따서 이름붙인 ‘라듐’이라는 새로운 방사능 원소가 존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그날 이후 두사람은 순수한 폴로늄과 ... ...
유전자 발현 동영상 포착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데이비드 스펙터 박사 연구팀은 DNA나 RNA 같은 분자에 각기 다른색 형광
물질
을 붙였다. 이들이 단백질을 만드는 여러 단계 과정을 직접 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연구팀은 “동영상(spectorlab.cshl.edu/movies.html)이 생각보다 훨씬 역동적이다”며 감탄했다.유전자 발현과 관련된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