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천문학 스파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기술을 토대로 한국이 독자 제작한 우리별 2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한국의 인공위성
연구원
들과 조선시대 천문관들의 노력이 묘하게 겹치는 것을 보면 우리가 선진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겪어야 하는 어려움은 어쩔 수 없는 운명인 모양이다 ... ...
'과학세상'으로 소풍오세요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걸었던 역사를 더듬다보면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는 정부출연
연구원
관에 도착한다.최첨단기술의 ‘양성소’를 지나면, 어려운 과학을 대중에게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한 과학기술 ‘놀이터’에 닿는다. 그 옆에는 미래 대한민국 과학을 이끌어갈 꿈나무들이 톡톡 튀는 ... ...
식물이 '흑기사' 부르는 전략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교수팀은 여성
연구원
이 식물에 다가갈 때마다 해충이 사라지는 현상을 목격하고 여성
연구원
이 사용하는 화장품의 주요성분인 자스몬산을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했다. 연구팀은 “자스몬산과 휘발성 기체에 대한 메커니즘을 더 명확히 밝혀 친환경적인 농법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 ...
물분자 캡슐이 포획한 차세대 에너지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이유는 메탄하이드레이트 층에서 실험을 하다 사고가 나면 그 파장이 크기 때문이다.
연구원
이 죽을 수도 있고, 메탄이 대량으로 공기에 분출되거나 해저지층이 붕괴돼 쓰나미가 일어나는 재앙이 발생할 수도 있다.이 교수도 “자원 문제는 인류 공동의 문제로 한 사람의 이득은 중요하지 않다”며 ... ...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992년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인 ‘우리별’을 쏘아올린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출신의
연구원
들이 창업한 벤처기업이다.국내 항공우주산업에 큰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쎄트렉아이, 그 중심에 박성동 사장이 있다. 그는 KAIST 1회 입학생으로 전기전자공학을 전공했다. 졸업 무렵 우연히 인공위성 ... ...
태양계 기원 밝힐 탐사선'돈'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67년 캘리포니아 대학원 화학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스위스의 바젤 면역학 연구소 주임
연구원
, 81년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교수가 되었다86년에 전미국 과학아카데미 외국인 회원이 되었으며 면역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로 87년 노벨 생리 · 의학상을 수상했다가을 초저녁에 북쪽 하늘 높이 엷게 ... ...
1. 누구나 슈퍼맨인 까닭?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성분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한다.인제대 서울백병원 스트레스센터 임성견
연구원
은 “커피에 함유된 카페인 성분은 뇌를 각성 상태로 만들고 근육에 글리코겐 같은 영양분을 비축하는데, 스트레스 호르몬인 노르에피네프린과 코르티솔 호르몬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 ...
건강한 온도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아기가 고열로 심각한 후유증을 겪을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다.한국표준과학
연구원
(이하 표준연) 기반표준부 온도광도그룹 김용규 박사는 “온도표준을 정확하게 맞추지 않으면 사람의 목숨을 다루는 의료현장에서 사고가 날 수 있다”며 “새로운 형태의 체온계가 속속 등장하고 ... ...
한국 조선공학계 최고의 여성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005 독일 프렌드십-시스템즈 GMBH 객원
연구원
2005~현재 대우조선해양(주) 선형연구개발팀
연구원
TEU컨테이너를 세는 단위. 1TEU는 길이 6.1m, 너비 2.4m, 높이 2.6m의 컨테이너를 말한다. 1만3200TEU 컨테이너선은 이런 컨테이너가 1만3200개 들어가는 선박이다.노트선박의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1노트는 시속 ...
광선총 든'산화물 해결사'가 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말을 입에 달고 산다.노 교수의 전공은 고체분광학. 1989년 미국 코넬대에서 박사후
연구원
을 마치고 한국에 돌아왔을 때 “우리나라에서 그 분야를 연구하려면 장비를 구하는 것만 평생 걸릴 것”이라는 동료 교수의 말을 듣고 산화물 연구로 방향을 돌렸다. 물론 나름대로 전망도 있었다. 산화물이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