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검은 연기 대신 푸른 돈 쏟아낸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불어넣어 슬래그를 탄산화시키면 해조류가 광합성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 포항산업과학
연구원
의 2004년도 연구에 따르면 제강슬래그 1톤에 이산화탄소 약 0.4톤을 저장할 수 있다.포스코에서 1년 동안 생산하는 제강슬래그 100만톤(포스코 전체 발생량의 약 20%)으로는 오염된 해양을 복원할 수 있을 ... ...
결핵 안전지대는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적은 없어요.” 언론에서 ‘정복된 줄 알았던 결핵이’란 표현을 쓰는 것에 대해 결핵
연구원
류우진 역학조사 부장은 단호히 반박했다. OECD국가 중 우리나라가 결핵 발병율과 사망률 모두 최고다. 2005년 한 해 동안 3만5269명이 결핵에 걸렸고 결핵 환자 중 2948명이 사망했다. 2000년 신규 결핵환자가 ... ...
대한민국 표준시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외부 전자파의 간섭을 받아 출발시각을 조금 늦게 기록했다는 이유였다.한국표준과학
연구원
(이하 표준연) 기반표준부 길이시간그룹 권택용 박사는 “시간 표준을 정확하게 맞추지 않으면 기록을 재는 스포츠 경기뿐만 아니라 금융이나 통신, 수송 등 사회 모든 부분에서 큰 혼란을 초래할 수 ... ...
유전자 상호작용으로 아토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를 탐구한다는 얘기다.연구단의 이욱빈
연구원
은 “실제로 유전자 자체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생기는 암은 전체 발생 건수의 5%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나머지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다. 나무(유전자)에서 숲(유전자 발현을 ... ...
외나로도를 방문한 은하신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전라남도 고흥군 외나로도에 조성되는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센터가 서서히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우주센터는 2008년 4월쯤 완공될 예정이고 그렇게 되면 우리나라는 세계 13번째 우주센터 보유국이 됩니다. 150만 평의 부지에 들어선 이 우주센터가 2007년 10월쯤 최초로 우리가 만든 인공위성 ... ...
우주 날씨 예보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때 방해를 하죠. 이런 것들을 미리 알려주는 것이‘우주 날씨 예보’예요.한국천문
연구원
이 최근 우주 날씨를 감시하고 예보하는 우주 환경 감시실을 열었어요. 앞서 말했던 태양 복사나 우주에서 날아온 높은 에너지의 알갱이,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죠. 이런 정보들은 위성을 발사하거나 ... ...
미리 입어보는 미래의 옷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진주 목걸이를 걸어 주는 격이다. 이 문제 역시 곧 옷이 해결해 준다. 2006년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ETRI)은 입고 훈련하면 육상 선수의 호흡, 체온, 맥박 등을 알아서 측정하는‘바이오 셔츠’를 개발했다. 선수의 몸 상태를 바로 알려 주기 때문에 훈련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문제점도 정확하게 찾을 ... ...
PART2 기후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듯하다. 올해 금강유역은‘상습홍수지역’으로 정해졌다.”2006년 한국환경정책평가
연구원
은 2051~2080년 금강유역에서 평년보다 최고 3배나 많은 2억4900만원의 홍수 피해가 발생할지 모른다고 전망했다.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은 충남 태안군 소원면과 동진강 유역이었다.2070년“강원도 ... ...
반짝이는 별 한 번 사볼까?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붙일 수 없다. 하지만 그 대신 발견한 사람이 원하는 이름을 붙일 권리를 갖는다.한국천문
연구원
은 보현산 천문대가 2004년 발견한 5개의 소행성에 국제천문연맹의 최종 승인을 받아 ‘최무선’ ‘이천’ ‘장영실’ ‘이순지’ ‘허준’처럼 한국인 과학자의 이름을 붙였다.진정으로 밤하늘에 ... ...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천문학과 1학년이던 1980년 5월 어느 날 필자는 학교 천문대에서‘첫경험’을 했다. 망원경으로 처음 봤던 토성의 모습. 어찌나 아름답던지 접안렌즈에서 눈을 뗄 수 없었다. 검은 하늘에서 찬란한 색채를 내뿜는 토성은 형언할 수 없을 만큼 신비로운 고리를 감고 있었다. 그렇게 아름다운 빛은 그때 ... ...
이전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