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똑똑한 자동차의 비밀 베스트7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지난 2005년 10월 8일 무인 자동차 ‘스탠리’(Stanley)는 스스로 장애물을 피하고 속도를 조절해가며 약 212km에 이르는 모하비 사막을 횡단하는데 성공했다. 완주하는데 걸린 시간은 6시간 53분 58초. ‘스탠리’는 현재 인간의 도움 없이 스스로 주행하는 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자동차다.최근 승용차에 ... ...
강원도 발 지진파 주말 저녁을 흔들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에서 발생한 지진은 전혀 예측하지 못해 무려 25만 명이 넘는 사망자를 냈다.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지헌철 지진연구센터장은 “1970년대 이후 세계적으로 지진을 예측하려는 연구가 활발했지만 대부분 실패로 끝났다”며 고개를 저었다. 전조현상이 나타나는 지진이 매우 드문데다, 지역과 규모를 ... ...
우리나라의 전파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있습니다. 이 망원경이 세워진 것이 1986년이니까 벌써 20년이 넘었답니다. 현재 한국천문
연구원
에서는 연세대학교, 울산대학교, 탐라대학교에 지름 21m짜리 전파망원경 세대를 세우고 있는데 2008년에 완공할 예정입니다. 세 망원경은 한국우주전파관측망을 형성하여 우리나라 전파천문학을 세계 ... ...
한반도에도 큰 지진이 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0건의 지진이 일어났다. 더 큰 문제는 아주 강한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다.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지진연구센터의 지헌철 센터장은“중국이나 일본에서 아주 큰 지진이 일어나면 2년 뒤쯤에 우리나라에서도 강한 지진이 일어난다”라고 걱정한다. 지 센터장은“2005년 일본 후쿠오카에서 대지진이 ... ...
PART2 굿바이 미네랄워터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우리나라의 환경 기준에는 안티몬 항목이 아예 빠져있다. 과학동아가 한국화학시험
연구원
에 의뢰해 유통기간이 올해 말까지인 국산 생수 2종류와 수입 생수 2종류를 검사한 결과 안티몬은 검출되지 않았다.국립환경과학원 김준환 박사는 “공기 중의 안티몬을 마시면 혈당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 ...
삼천리 금수강산 '악'산의 비밀을 벗긴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거친 바위가 치솟은 능선에 침엽수가 자라고 있다.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김동현
연구원
은 “침엽수림은 산불 확산 속도가 빠르고 늘 잎이 있어 불이 잘 붙기 때문에 활엽수림보다 화재에 취약하다”고 말했다. 악산이 불의 산이라는 말은 나름 일리가 있는 셈이다.오르는데 끈기와 체력이 ... ...
우주정거장서 초파리 1000마리와 뒹군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따끈한 물을 특수 팩에 넣어 즉석에서 만든 된장국에 김치와 밥을 먹었다. 한국식품
연구원
김성수 박사가 우리 전통음식을 우주식으로 개발한 덕분이다. 칼슘과 섬유소를 강화하고 염분을 줄였다고 한다. ‘역시 한국인은 김치에 밥이 최고야.’다음날은 아침부터 지구 사진을 찍는데 몰두한다. ... ...
제6회 여성과학기술자상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12월 21일 제 6회 ‘올해의 한국여성과학기술자상’에 고려대 박정희교수,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안지환 박사, 서울대 노정혜 교수가 선정됐다. 이 상은 뛰어난 여성과학자를 발굴하자는 취지에서 2001년 처음 만들어졌고 한국과학재단과 동아사이언스가 주관하고 동아일보가 후원한다.이학분야에서 ... ...
숨바꼭질 잘하는 색맹 원숭이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곤충은 흰목꼬리감기원숭이의 주된 먹이로 하루 섭취량의 1/3 이상을 차지한다.멜린
연구원
은 “색맹 동물은 색 구별 능력은 떨어지지만 물체의 형태나 윤곽을 구별하는 능력이 뛰어난 경우가 많다”며 “이 때문에 동물 게놈에 색맹 유전자가 아직도 남아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
한국 천문학자, 특이천체 퀘이사 무더기로 발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120개를 선택했다.퀘이사 후보 120개가 진짜 퀘이사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에는 한국천문
연구원
김강민 박사팀이 개발한 분광기(BOES)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BOES는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없다는 평가를 받는다. 2006년 6월과 12월 임 교수팀은 경북 영천 보현산천문대에서 지름 1.8m 망원경에 BOES를 ... ...
이전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