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원도 발 지진파 주말 저녁을 흔들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에서 발생한 지진은 전혀 예측하지 못해 무려 25만 명이 넘는 사망자를 냈다.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지헌철 지진연구센터장은 “1970년대 이후 세계적으로 지진을 예측하려는 연구가 활발했지만 대부분 실패로 끝났다”며 고개를 저었다. 전조현상이 나타나는 지진이 매우 드문데다, 지역과 규모를 ... ...
새집증후군 피하는 법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확인하는 숙련도 시험을 하는 것.표준시료는 한국표준과학
연구원
이 공급한다.
연구원
의 삶의질표준부 환경그룹 허귀석 박사는 “오차범위를 1억분의 1 이하로 낮춘 정확한 표준시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표준시료를 만드는데는 중량법을 사용한다. 만약 포름알데히드의 표준시료를 제작한다면 ... ...
'효소 철기군'이 유전병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수 있습니다. 이 분야 전문가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제가 나설 수밖에 없었어요. 우수한
연구원
들이 학교 밖에서도 마음 놓고 연구할 수 있는 거점을 만들고 싶었습니다.”서 교수는 국내 기업가들과 구체적인 회사 설립 계획을 짜고 있다. 올해 안에 이 같은 작업을 마친다는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 ...
한반도에도 큰 지진이 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0건의 지진이 일어났다. 더 큰 문제는 아주 강한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다.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지진연구센터의 지헌철 센터장은“중국이나 일본에서 아주 큰 지진이 일어나면 2년 뒤쯤에 우리나라에서도 강한 지진이 일어난다”라고 걱정한다. 지 센터장은“2005년 일본 후쿠오카에서 대지진이 ... ...
우리나라의 전파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있습니다. 이 망원경이 세워진 것이 1986년이니까 벌써 20년이 넘었답니다. 현재 한국천문
연구원
에서는 연세대학교, 울산대학교, 탐라대학교에 지름 21m짜리 전파망원경 세대를 세우고 있는데 2008년에 완공할 예정입니다. 세 망원경은 한국우주전파관측망을 형성하여 우리나라 전파천문학을 세계 ... ...
PART2 굿바이 미네랄워터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우리나라의 환경 기준에는 안티몬 항목이 아예 빠져있다. 과학동아가 한국화학시험
연구원
에 의뢰해 유통기간이 올해 말까지인 국산 생수 2종류와 수입 생수 2종류를 검사한 결과 안티몬은 검출되지 않았다.국립환경과학원 김준환 박사는 “공기 중의 안티몬을 마시면 혈당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 ...
14년 우정이 만든 빛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맺은 때는 1993년. X선 산란연구에 관심을 뒀던 제 교수가 미국의 엑손연구소에서 대만중앙
연구원
의 유광 후 박사와 공동연구를 시작하면서다. 당시 후 박사의 지도교수가 마가리톤도 부총장이었기 때문에 제 교수와 자연스럽게 만나게 됐다.마가리톤도 부총장은 “포항방사광가속기를 설립할 때 ... ...
바이오 에탄올 만드는 인공세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살뜰한 아버지’라는 게
연구원
들의 귀띔이다. 그는 좋은 공연이 열릴 때마다
연구원
들과 대구오페라하우스까지 원정을 떠나는 것도 마다하지 않는다. 학업과 연구 때문에 스트레스가 쌓일 것을 염려한 황 교수의 배려다.지난해에도 인기 뮤지컬 ‘맘마미아’와 ‘명성황후’ 등 웬만한 유명 ... ...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되는 역법이지만, 조선의 천문학자들이 ‘칠정산외편’을 연구한 이유다.최근 한국천문
연구원
안영숙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세종 때 칠정산외편법으로 일식의 시작 시간을 예측했을 때 오차는 3분 정도였다. 월식은 일식보다 오차가 더 크지만 30분 내에서 예보할 수 있었다. 그런데 어떤 역법이든 ... ...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3명 발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구조물을 이용해 센서와 전기소자,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안
연구원
은 이산화탄소를 활용해산업현장에서 발생한 각종 중금속 유해물질을 처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노 교수는 황우석 전 서울대교수 논문조작 사건의 조사위원장을 맡아 빠르고 철저하게 해당 사건을 ... ...
이전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