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새‘유전자 신분증’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사는 새의 종류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유전자 신분증’이 개발됐다.한국생명공학
연구원
김창배 박사팀이 개발한 유전자 신분증은 새의 종류마다 다른 DNA 염기서열을 이용해 만든 것이다.연구팀은 국내 자생 조류 92종의 DNA 정보를 이용해 유전자 신분증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앞으로 ... ...
만 원 지폐에 뜨는 보현산천문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청송군 사이에 높이가 1124m에 이르는 보현산이 있습니다. 이산 정상에 1996년 4월 3일 한국천문
연구원
보현산천문대가 세워졌는데 국내 최대 지름 1.8미터 천체망원경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올해 1월 22일에 발행되는 만원짜리 새 지폐 뒷면에 이 망원경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 망원경과 함께 혼천의 와 ... ...
우주로 이사가는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발견되면서 2005년에는 지구 질량 5.5배 정도의 행성도 발견되었다는 것. 한국천문
연구원
박병곤 박사, 충북대 한정호 교수 등이 참여한 국제연구팀도 지난 2005년 5월 목성급 외계 행성을 발견한 데 이어 2006년 3월 해왕성급(지구 질량의 12배) 외계 행성을 발견하기도 했다.걱정은 외계 행성이 보통 ... ...
당신이 마신 술의 양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메탄올이나 수분 같은 불순불이 아주 조금만 섞여 있어도 불확도가 생긴다. 한국표준과학
연구원
삶의질표준부 우진춘 박사는 “100% 정확한 측정값이란 없다”며 “불확도를 최소로 만드는 일이 중요하다”고 말했다.현재 음주측정에서 불확도를 높이는 큰 이유 중 하나는 호기알코올농도를 ... ...
우주실험 임무 걱정 마세요!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탐험지는 다름 아닌 ‘인공지능’이다. 그는 우주인 후보에 선발되기 전 삼성종합기술
연구원
에서 ‘컴퓨터비전’을 연구했다. 컴퓨터비전은 컴퓨터가 사람처럼 카메라 렌즈로 사물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의 한 분야다. 그는 “미지의 세계인 인간의 인지과정을 탐험한다는 생각으로 연구에 ... ...
제6회 여성과학기술자상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12월 21일 제 6회 ‘올해의 한국여성과학기술자상’에 고려대 박정희교수, 한국지질자원
연구원
안지환 박사, 서울대 노정혜 교수가 선정됐다. 이 상은 뛰어난 여성과학자를 발굴하자는 취지에서 2001년 처음 만들어졌고 한국과학재단과 동아사이언스가 주관하고 동아일보가 후원한다.이학분야에서 ... ...
숨바꼭질 잘하는 색맹 원숭이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곤충은 흰목꼬리감기원숭이의 주된 먹이로 하루 섭취량의 1/3 이상을 차지한다.멜린
연구원
은 “색맹 동물은 색 구별 능력은 떨어지지만 물체의 형태나 윤곽을 구별하는 능력이 뛰어난 경우가 많다”며 “이 때문에 동물 게놈에 색맹 유전자가 아직도 남아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
한국 천문학자, 특이천체 퀘이사 무더기로 발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120개를 선택했다.퀘이사 후보 120개가 진짜 퀘이사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에는 한국천문
연구원
김강민 박사팀이 개발한 분광기(BOES)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BOES는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없다는 평가를 받는다. 2006년 6월과 12월 임 교수팀은 경북 영천 보현산천문대에서 지름 1.8m 망원경에 BOES를 ... ...
된장녀, 트랜스지방 탈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식용유를 정제하는 과정이나 식물성 기름을 고온으로 가열할 때도 생긴다. 한국식품
연구원
윤석후 박사는 “튀길 때 기름의 온도가 높을수록 튀기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트랜스지방이 많이 만들어진다”고 말했다.20세기 중반에 접어들며 트랜스지방의 해악이 속속 밝혀졌다. 인류 최고의 ... ...
우주정거장서 초파리 1000마리와 뒹군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따끈한 물을 특수 팩에 넣어 즉석에서 만든 된장국에 김치와 밥을 먹었다. 한국식품
연구원
김성수 박사가 우리 전통음식을 우주식으로 개발한 덕분이다. 칼슘과 섬유소를 강화하고 염분을 줄였다고 한다. ‘역시 한국인은 김치에 밥이 최고야.’다음날은 아침부터 지구 사진을 찍는데 몰두한다. ... ...
이전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