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금 화성에는 물이 흐르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있다는 뜻이다.탐사선이 보내온 사진을 토대로 화성의 협곡을 연구해온 케네스 에제트
연구원
은 “협곡이 생기는데 필요한 물은 수영장 5~10개 분쯤 된다”고 추정했다.수천~수만년 전 화성에 물이 존재했다는 사실과 화성의 북극 근처에 얼음이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진은 있었지만 ... ...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동양에는 사람의 얼굴에서 동물의 형상을 읽어 관상을 보는 ‘물형관상’(物形觀相)이란 것이 있다. 물형관상으로 따지면 고려를 세운 왕건은 용의 얼굴에 호랑이의 턱을 가져 필시 왕이 될 관상이고, 조선의 1대 임금 이성계는 봉황을 닮아 나라를 세울 관상이라고 한다.건국 신화에는 이렇게 얼굴 ... ...
4. 나는 꽃미남이 좋아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리자’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초상화다. 그런데 아직 모델의 성별은 불분명하다. 신비한 미소를 띤 표정에서 여자라고 추측할 수 있지만 모나리자가 여장 남자라는 주장부터 양성이라는 얘기까지 있다. 얼굴만 보고 남자와 여자를 구분할 ... ...
라식수술 부작용 줄인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레이저의 성능을 시험하기도 했다.정 박사는 “특히 레이저 세기를 재는 기계(ECPR)는
연구원
이 보유한 광도원기(극저온 절대복사계)를 이용해 출력의 표준을 가늠한다”고 말했다. 광도원기는 ECPR 같은 장비에서 나오는 레이저의 에너지를 내부물체(흑체)가 흡수할 때 올라간 온도를 재는 원리로 ... ...
변신의 귀재 탄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되던 1991년, 이번에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죽부인’이 발견됐다. 일본전기회사(NEC)의
연구원
이었던 이지마 스미오 박사는 빨대처럼 길쭉하고 속이 비어있는 물질을 전자현미경으로 발견하고 상관에게 보고했다. 불순물이니 무시하라는 상관의 의견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연구를 거듭한 결과 그는 ... ...
독일의 커다란 전파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독일의 에펠스베르크라는 조그만 마을에는 지름이 100m, 면적이 축구장 4개 에 맞먹는 거대한 전파망원경이 있습니다. 마을 어귀에만 가도 커다란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미국령 푸에르토리코의 지름 300m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에 이어 세계 두 번째 크기를 자랑하는 이 전파망원경은 당시나 지금이나 ... ...
히말라야 1000년마다 대지진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발생하면서 더 큰 지진이 덮칠 것이란 공포가 커지고 있다.영국 지질학회의 지진파
연구원
인 로저 무손 박사는 “재난 대책을 세울 때 이런 연구를 심각히 고려해야 한다”며 “대지진이 일어났던 지역을 더 이상 안전지대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 ...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유전자’ ‘예쁜 입술 유전자’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KAIST 분자생리학실험실 박기연
연구원
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고 말했다.먼저 눈, 코, 입 등 얼굴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형태를 결정하는 유전자를 찾고 각 기관으로 분화하는 과정을 알아낸다. 예를 들어 눈과 관계된 유전자라면 눈의 ... ...
30년만에 독일서 재회한 대형전파망원경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운용할 계획이다. KVN이 완성되면 대한민국 크기의 전파망원경이 생기는 셈이다. 한국천문
연구원
손봉원 박사는“2007년 3곳의 전파망원경이 건설돼 시험 관측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2010년 이후 한국은 일본, 중국과 함께 3개국의 전파망원경을 동시에 운영할 계획이다. 손 박사는“KVN뿐 ... ...
우주 김치는 얼마나 맛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때 물방울이 어떻게 변하는지도 조사해 달라고 요청했다.이 밖에 한국 우주인은 항공우주
연구원
이 개발한 우주저울이나 원자력연구소가 만든 우주김치 등을 테스트한다. 무중력 공간에서 얼굴이 변하는 과정과 초파리가 무중력 공간에서 사는 방법 등도 우주인이 밝혀야 할 임무다.★최초 한국 ... ...
이전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