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뉴스
"
연구자
"(으)로 총 5,75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미 우주협력협정 타결] 한국, 350조원 세계우주시장 진출 발판 마련
2016.03.01
“우주협정을 맺었다는 것은 서로가 동등한 파트너가 됐다는 의미”라며 “한국과 미국
연구자
들이 만나 유무형의 기술을 주고받으면서 양국 과학기술계가 서로 발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과의 우주협력은 한국 우주과학계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여줄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까지 한국은 ... ...
[토요일에 만난 사람]“징그럽게 생겼다고요? 곤충이 90억 인류의 미래”
동아일보
l
2016.02.27
새로운 성과를 내는 게 어려워진 만큼
연구자
들이 좋은 평가를 받기도 어려워져 떠나는
연구자
가 늘고 있다. 반도체 관련 학과의 교수가 줄어드는 것은 물론이고 학과 정원도 줄어들었다. 한마디로 반도체 연구의 분위기가 침체된 것. “한국이 세계 시장에서 반도체로 1등 자리에 올라서고 지금까지 ... ...
노벨상에 가장 근접했다는 물리학자, 서울대 떠나 포항공대로 옮기기로
2016.02.25
물리학과 주임교수는 “한국 물리학계를 대표하는 임 교수의 영입으로 포스텍 내 다른
연구자
와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학교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 교수를 떠나보내긴 하지만 서울대 측의 표정도 밝다. 김성근 서울대 자연과학대학장은 “임 교수가 ... ...
[토요이슈]유전자 조작-DDT 살포? 더 무서운 모기 낳을 수도
동아일보
l
2016.02.20
대해 각종 위기 때마다 흔들렸던 브라질 정부의 권위가 낮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모기
연구자
는 이 음모론을 어떻게 볼까. “현재 모기를 정복하는 방법은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끼죠.” 국내 모기 연구의 최고 권위자인 이동규 고신대 보건환경학부 교수의 말이다. “유전자변형 모기는 자연 ... ...
[‘한강의 기적’ 일군 과학기술 50년 下·끝]“‘조용한’ 출연연에서 ‘퍼스트 무버’로 변신하겠다”
2016.02.19
그는 “세상을 바꾸는 혁신 기술은 실패의 토양 위에서 싹 트기 마련”이라며 “
연구자
가 실패에 대한 부담을 떨쳐내고 리스크(위험)가 큰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관련 가이드라인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NST가 주축이 돼 국제 협력을 이끌고 국제 자금을 끌어올 수 있도록 국제 공동연구 ... ...
[‘한강의 기적’ 일군 과학기술 50년 下·끝] 출연연 벽 허물고 뭉친 ‘어벤저스’
2016.02.19
있지만 실행에 있어서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자주 모이긴 하지만 평소에는
연구자
들이 서로 떨어져 있다 보니 시너지를 충분히 내지 못하는 것이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각 출연연 연구원이 단순한 교류를 넘어 한공간에 모여 함께 연구할 수 있는 융합연구단을 201 ... ...
[Health&Beauty]보청기로 치매를 막는다
동아일보
l
2016.02.17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약물보다 청력 개선이 인지력 회복에 2배의 효과를 본다는 일부
연구자
들의 발표도 나와 있다. 노인성 난청의 청력 개선 방법으로는 보청기를 사용하는 것이 주된 방법이다. 보청기 사용은 무엇보다 청력을 개선시켜 더 잘 들리게 하는 것이 목적인데, 이를 위해서는 보청기를 ... ...
1억 년 동안 싸운 개미들
팝뉴스
l
2016.02.17
바이올로지’를 통해 알려져 화제가 된 사진이다. 미국 자연사박물관과 럿거스 대학교의
연구자
들이 미얀마에서 발견한 호박 속에는 두 마리의 개미가 들어 있다. 한 마리를 상대의 더듬이를 물었고 또 다른 개미는 다리를 물면서 공격한다. 둘은 치열하고 그리고 필사적으로 싸움을 벌이고 있다. ... ...
초콜릿, 타원체 상자가 구형보다 꽉꽉 채워져
과학동아
l
2016.02.14
연구자
들이 용기에 M&M 초콜릿을 담고 있다. 오른쪽의 사람이 M&M 초코릿을 좋아하는 폴 채킨 박사. 내용물이 어떤 모양일 경우 포장했을 때 가장 많이 담길까. 오랫동안 과학계에서 구형이라고 여겨왔던 것과 달리 타원체인 것으로 최근 밝혀졌다. 16세기 위대한 과학자 케플러는 용기 안에 가장 많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피사에 있는 비르고(Virgo)와 독일 하노버에 있는 GEO600도 참여했다. 즉 주최측은
연구자
들에게 불시에 가짜 신호가 갈 수 있다고 사전에 양해를 구한 뒤 2010년 9월 16일 신호를 넣었다. 그 결과 두 곳의 라이고 관측소는 상당한 감도로 신호를 검출했다. 반면 팔 길이가 3km로 약간 짧은 비르고는 약한 ... ...
이전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