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무
부담
책무
담당
임무
가중
맡은이
뉴스
"
책임
"(으)로 총 5,48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젠 ‘탠덤 태양전지’ 시대
2014.11.24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김홍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광전하이브리드연구센터
책임
연구원팀은 태양전지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다중접합(탠덤)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시중에 많이 쓰이는 실리콘 태양전지는 단일 접합 방식이어서 이론적 한계효율이 ... ...
아프리카 말라위 토양 분석해 인류 지능의 기원 캔다
2014.11.21
종류를 확인하면 문화 전파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정연중 환경과학연구부
책임
연구원은 “우리나라 안에서도 크게 네 지역에서 동위원소가 다르게 나타날 정도로 납은 지역차가 크다”며 “2012년에는 ‘에밀레종’으로 널리 알려진 성덕대왕신종의 재료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채굴한 것이 ... ...
말(馬)이 호흡기 질환 안 걸리게 하려면?
2014.11.19
수 있는 백신 제작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송대섭 선임연구원와 정대균
책임
연구원, 김정기 고려대 약대 교수팀은 기존 백신과 동일한 효능을 가진 백신을 개발하고 국내 동물용 백신제작업체에 기술을 이전했다고 19일 밝혔다. 말 인플루엔자는 전염성이 높은 말 호흡기 질병으로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10편]
동아사이언스
l
2014.11.19
갑니다.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http://cafe.naver.com/dsciencecity/9882 ◈
책임
프로듀서 서영표 영상파트장 sypyo@donga.com ◈ 연출 이동규 dlee9@donga ... ...
출제위원 75%가 교수…“고교생 수준 몰라”
동아일보
l
2014.11.19
한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평가원도 기관인 이상 오류를 인정할 경우 기관장 사퇴 등
책임
을 피할 수 없다. 이런 부분도 끝까지 오류를 인정하지 않게 만드는 한 가지 이유다. 지난해 수능 세계지리 문제의 경우 1년이나 지나 오류를 인정하는 바람에 더 큰 혼란을 빚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 ...
“후쿠시마 원전 인근 주민 방사선 피폭 거의 없어”
2014.11.14
그려 논란이 됐다. 최근 국내에서 갑상샘암에 걸린 원전 주변 주민에게 원전 측의
책임
이 있다는 판결이 나온 데 대해 아카시 이사는 “원전에서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지 않는 한 원전과 암 발병 사이의 인과관계는 거의 없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방사선 피폭량을 ... ...
[채널A] 혜성 ‘터치다운’ 세기의 우주쇼…3시간 뒤 첫 발
채널A
l
2014.11.13
성공적으로 분리됐다고 밝혔습니다. 안드레아 아코마조/ 로제타호 운영
책임
자 로봇이 탐사선에서 완전히 분리됐습니다. 아무 문제없이 작동하는 것이 확인돼 모두 매우 기쁩니다. 무게가 100kg인 로봇은 초속 1m로 천천히 혜성을 향해 내려가고 있습니다. 착륙 예정 시각은 새벽 1시 3분. 표면은 ... ...
녹조 광합성이 방사능 물질 제거한다
2014.11.12
기존 물리화학적 흡착이나 침전 방식보다 비용이 저렴한 것도 장점이다. 이승엽
책임
연구원은 “이 미세조류가 대량의 오염수를 저비용, 친환경 방식으로 처리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미세조류와 미생물을 이용해 오염수 및 오염토양 등에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을 ... ...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4.11.10
와우는 미세한 소리 자극에는 반응을 잘 나타내기 힘들다. 김완두 한국기계연구원
책임
연구원은 생체모방기술을 활용해 나노 소자로 사람의 부동섬모(달팽이관 안에 있는 특수 섬모)와 동일한 센서를 개발하고 이 센서로 인공 와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렇게 개발한 인공 와우를 ... ...
빅뱅 후 6~7억 년 뒤 우주배경복사 관측 성공
2014.11.07
탑재하고 우주배경복사와 우주성간물질 분포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이대희 천문연
책임
연구원은 “우주배경복사를 처음 발견한 것은 1965년이지만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며 “이번 연구는 근적외선 영역의 우주배경복사를 정밀하게 측정한 최초의 성과”라고 말했다. ... ...
이전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