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무
부담
책무
담당
임무
가중
맡은이
뉴스
"
책임
"(으)로 총 5,481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형 원자로에 쓸 핵연료 피복, 국내 연구진이 개발
2014.11.05
성능도 30% 증가하기 때문에 같은 양의 핵연료로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김성호
책임
연구원은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사용후핵연료를 기존 핵연료 피복관에 비해 30% 더 많이 없애면서 동시에 전기를 얻을 수 있다는 뜻”이라며 ”충분한 고온·고압 실험을 거쳐 안전성을 ... ...
아우구스티누스 석상 복원에 나노 입자가?
2014.10.31
있으며, 독일의 문화재 복원 기업인 IBZ 프라이베르크 대표인 게랄트 치겐발크 박사가 총
책임
을 맡고 있다. 스톤코어 프로젝트는 가장 성공적인 복원 작품을 최근 공개했다. 1761년 완공된 폴란드 바르샤바의 성 요세프 성당에 있는 하일리거 아우구스티누스 석상이 그 주인공이다. 이 석상은 ... ...
첨단 융복합 기술의 첨병으로 불리는 3대 기계기술
2014.10.24
필요한 전력 모두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박성환 기계연 시스템신뢰성연구실
책임
연구원은 “육상 발전소 건설에 필요한 시간과 공간 문제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어 전력 위기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재종 나노융합기계연구본부장팀은 기존 바이오칩의 성능을 ... ...
작은 대학 도시가 일으킨 ‘스웨덴 성공 스토리’
2014.10.24
소도시의 장점을 십분 활용해 SVS를 도심에 조성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SVS 건설
책임
자인 울리카 린드마르크 대표는 “룬드 시 중심에서 SVS까지 5km에 불과하다”며 “SVS가 룬드라는 작은 도시를 세계 최고의 과학 도시로 탈바꿈시킬 원동력”이라고 말했다. 콜린 칼라인 SVS 특별고문은 ... ...
팔뚝에 특수 밴드 찼더니 아바타가 똭!
2014.10.24
순식간에 제작이 가능하다. -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제공 연구단의 안상철 KIST
책임
연구원은 초스피드로 자신의 아바타를 만드는 기술을 공개했다. 대상을 3차원으로 찍어 주는 ‘깊이 카메라(Depth Camera)’와 일반 카메라를 같이 사용해 체형을 스캐닝한 뒤 미리 만들어둔 골격에 이를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9편]
동아사이언스
l
2014.10.22
갑니다.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http://cafe.naver.com/dsciencecity/9882 ◈
책임
프로듀서 김대공 방송기획팀장 scigong@donga.com ◈ 연출 이동규 dlee9@donga.com 서영표 sypyo@donga.com ... ...
텅스텐 나노 분말로 방사선 완전 차폐
2014.10.20
방사선 차폐재 상용제품을 세계 최초로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김재우 원자력연구원
책임
연구원은 방사선을 막을 수 있는 물질을 나노 입자로 만드는 동시에 표면을 고분자 수지에 고밀도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제조기술을 개발해 2011년 동원엔텍에 기술을 이전했다. 이번에 개발한 제품은 나노 ... ...
‘한국판 퀴리 부인’ 찾아보니…
2014.10.17
화합 능력으로 융합과 협력을 이끌어내는 여성 과학자도 있다. 정소희 한국기계연구원
책임
연구원(40)은 누구나 함께 연구하고 싶어 하는 과학자로 평가받는다. 화학과 출신인 정 연구원이 현재 공동연구를 하고 있는 사람들은 유체역학 전공자, 물리학자, 공정 장비 기술자 등 다양하다. 그는 ... ...
LED 교통신호등 수명 2배로 늘렸다
2014.10.14
재료 구조 50여 종의 효율개선을 위한 구조개선 방법 역시 추가로 찾아냈다. 김용성
책임
연구원은 “파악된 자료는 국내 산업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모두 컴퓨터 자료로 바꿔 홈페이지(npdb.kriss.re.kr)에 공개했다”며 “향후 나노입자를 이용한 광전자 소자 기술개발의 가속화가 일어나길 ... ...
영화 ‘메이즈 러너’처럼 기억 지울 수 있을까
2014.10.10
저장된다고 주장한다. 김진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기능커네토믹스연구단
책임
연구원은 “기억이 저장되는 과정의 핵심이 신경세포 자체인지 신경세포들 간의 상호작용인지에 대해서도 학계에서는 의견이 분분하다”면서 “신경세포 지도를 완성하면 이런 논란에 대한 답이 어느 정도 ... ...
이전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