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잠수함의 필수품, 잠망경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4호
참 밖의 풍경을 볼 수 있지요. 그런데 이 원리를 잘 이용하면 다양한 위치에 있는 물
건
을 편안하게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920년대에는 잠망경의 원리를 이용해 누워서 책을 읽는 발명품이 발명되기도 했습니다. 가슴 쪽에 책을 펼쳐놓고 하늘을 보고 있으면 책의 상이 거울에 90°로 반사되어 눈 ... ...
가상현실 속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4호
먼저 가상현실이 무엇인지 여쭤 봤어.실제 공간에 가상의 물체가?두 번째로 체험해 본
건
가상현실의 한 분야인 ‘증강현실’이야.가상현실 속의 환경이나 물체가 모두 가상인 것과 달리, 증강현실은 실제로 있는 공간에 가상의 물체를 합성해 넣은 거야. 이렇게 하면 좀 더 현실에 바탕을 두고 ... ...
전기가 흐르는 누드김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재미있네요. 그런데 이번에 개발된 나노전선과 나노튜브는 어디에 쓸 수 있는
건
가요? 실제 김밥이 아니니 먹을 수는 없겠죠?하하! 당연하죠. 대신 차세대 태양전지를 비롯해 여러 가지 센서나 칩 등에 활용할 수 있어요. 특히 이번에 쓰인 펩타이드는 알츠하이머와 같은 퇴행성 질병과도 관련이 되어 ... ...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휘익~, 툭!'킁킁, 나 …. 지금 쓰레기통에 온 거니? 이럴 수가…! 과자를 담아 사람들에게 고이 전해주었
건
만, 공을 알아 주긴 커녕 쓰레기통에 버리다니 …. 사람들이 내 ... 해 줄지 상상해 보렴. 사람들이 발전시킨 과학이 다시 편리한 생활로 돌아온다는
건
생각만 해도 멋진 일이니까~ ... ...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있는 천적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네. 하지만 천적이 없다고 꽃매미를 물리칠 수 없는
건
아닐세. 국립농업과학원에서는 꽃매미만 유인하는 트랩식물과 LED 및 음파를 이용한하고 있다네!”아무래도 이번 수사는 장기전이 되겠군. 꽃매미의 정체가 정확히 밝혀져야 확실한 대책도 세울 수 있으니 ... ...
Part 2. 통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선생님이 있다면 여학생은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가장 크게 잃고 말아. 안타까운
건
아직 이렇게 생각하는 선생님이 많다는 사실이야. 학생들도 수학 선생님이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 더 많이 질문하고 대답에 대한 설명이나 칭찬도 많이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어. 다행히 남녀를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없다.물론 내가 태어나는 과정을 잘 살펴보면 정상적으로 바깥에 나가는 일이 사람의
건
강에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우선 우리가 만들어지기 전단계인 유미를 생각해보자. 유미가 대장을 통과하는 시간은 소장을 통과하는 시간에 영향을 받는다. 유미가 소장을 천천히 통과하면 소장에서 ... ...
와인 이제 바르고 입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햇볕이 풍부하고 일교차가 10℃ 이상 되는 날이 많아 포도가 잘 익을 수 있는 최적의 조
건
을 갖췄다. 또 포도를 수확하는 10월경에 비가 적게 내리는 이점도 있다. 이제 막 태어나기 시작한 한국 와인이 다른 나라에서 탄생한 유명 와인과 세계 시장에서 어깨를 견줄 수 있을까. 먼저 포도를 키우는 ... ...
첨단토목기술 떠받치는 기둥, 철강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철강 구조물을 자원으로 보고 1인당 축적량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우리도 처음
건
설할 때 비용만 생각하지 말고 긴 시간을 내다보는 안목이 필요한 때입니다.”윤 단장은 우리나라가 앞선 철강기술을 잘 활용하면 21세기 토목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
볼펜 한 자루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외국에는 지름 0.18mm짜리 볼펜도 나와 있다”며 “그러나 볼이 작다고 무작정 좋은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마치 바늘 끝으로 글씨를 쓰는 것처럼 사용감이 좋지 않을뿐더러 볼 지름이 작아질수록 펜 끝이 받는 압력이 커져 쉽게 망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그만큼 높은 수준의 정밀도가 필요하기 ... ...
이전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