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장거리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하지만 드넓은 대기에 퍼져 있는 이산화탄소를 붙잡는
건
만만찮은 일이다. 2005년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위원회(IPCC)’는 에어 스크러버는 소모하는 에너지가 너무 많아 비현실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만약 에어 스크러버 기술을 상용화할 수 있을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거울상 분자를 없애는 게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임신 가능성이 있는 사람은 무조
건
피해야 한다.이 밖에도 약물의 거울상 분자가 다른 약효를 보이거나 부작용이 있는 예가 여럿 있다. 결핵치료제인 에탐부톨의 거울상 분자는 실명을 일으킬 수 있고, 관절염 진통제인 나프록센의 거울상 ... ...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해인 1901년 5월에는 진고개 일대에 600개의 전구가 설치됐다.
건
달불이 일상이 된 시기는
건
천궁에서 첫 점등이 이뤄지고도 한참 뒤인 해방 이후였다. 그 뒤로 60여 년간 백열전구는 우리의 밤을 함께 밝혀왔다. 그러던 백열전구가 이제 곧 역사의 저편으로 사라진다.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 효율이 ... ...
몸속 영상에서 병든 부위 짚어 암 치료제 개발에 다가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한다. 몸속 구조를 흐릿하게 보여주고 병소를 가리킨다면 어느 부분에서 질환이 생긴
건
지 진단내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춘천센터 분석연구부의 유은경 박사는 “몸속 구조를 자세하게 찍은 영상과, 질환과 관련된 부위를 정확히 드러내는 영상을 합치면 환자의 병명과 ... ...
기술과 문화가 공존하는 신대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소통, 유연한 사고 강조‘실현 가능한 창의성’을 주장하는 안성훈 교수는 미국 미시
건
대 항공우주공학과를 우등으로 졸업하고 스탠퍼드대에서 항공우주공학 박사학위를 받은 석학이다. 2003년부터 서울대에 재직하며 2005년 제조 고려 설계에 대한 논문으로 대한기계학회에서 백암논문상을, 200 ... ...
시대를 초월한 가치 ‘동의보감’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한의학을 비과학적인 의학으로 보는 인식과 그 반대 의견의 마찰은 종종 있어 왔다. ‘
건
강의 유지와 질병의 예방’이라는 의학의 본질적 목표를 고려한다면, 화학약품을 통해 질병을 인위적으로 제거하고 외과적 수술로 상처를 도려내는 서양의학보다 신체의 균형과 기의 소통을 강조하는 ... ...
짧지만 강렬한 기억 첫인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머리에 정장만 고집한다. 나이 들어 보이는 옷차림이 그의 첫인상을 더 안 좋게 만드는
건
아닐까. 친구들은 그에게 머리도 기르고 옷차림도 캐주얼하게 바꾸라고 조언한다. 왠지 그에게선 다가가기 힘든 ‘포스’가 느껴지기 때문이다.호감을 주는 외모나 부드러운 목소리는 첫인상을 결정하는 ... ...
방송, 이젠 오감을 만족시켜라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물론 보는 시점만 다양하게 구성한다고 해서 3차원 영상이 되는
건
아니다. 2차원 평면에서 찍더라도 물체의 굴곡과 원근감을 표현하려면 카메라로부터 물체가 떨어져 있는 실제 거리가 필요하다. 카메라에서 얻은 영상에 깊이 정보를 더하는 셈이다.깊이 정보는 깊이 카메라 ... ...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아무리 노련한 사냥꾼이라도 발 빠른 멧돼지를 하루에 한 마리 이상씩 꾸준히 잡는
건
무리다. 실제로 사냥꾼들은 반나절 이상은 멧돼지의 흔적을 쫓아다닌 끝에야 겨우 멧돼지를 만난다. 포획은 그 다음 문제다.수도권처럼 사냥이 어려운 지역은 먹이로 유인해 멧돼지를 사로잡는 ‘포획 틀’ 같은 ... ...
분자로 비휘발성메모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10nm 간격이라면 1cm2에 무려 1조 개의 교차점이 존재한다. 물론 두 전극 사이를 연결하는
건
단분자막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분자가 일상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을까. 실리콘산화물이야 일종의 돌가루이므로 안정한 물질이지만 분자는 열이나 습도, 공기 중의 산소 등에 취약할 수 있다 ... ...
이전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