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뉴스
"
분
"(으)로 총 10,693건 검색되었습니다.
AI 의사보조와 자율주행로봇 활약하는 세계 첫 ‘5G 혁신병원’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5
가능해졌다. 수술 중 발생하는 병리 데이터는 환자 상태 파악을 위해 빠르고 정확한
분
석이 중요하다. 5G 네트워크는 초고속이므로 병원 내 병리과 사무실에서도 장당 4GB 수준의 고 용량 병리 데이터 조회를 가능케 한다. 5G 양성자 치료정보 조회는 병원 내 어디서는 원하는 곳에서 ... ...
피 한 방울로 중증 알츠하이머 진단…정확도 88%
연합뉴스
l
2020.01.15
소재이다. 무작위로 방향성을 가질 때보다 정렬할 때 저항을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분
석물 측정의 민감성을 높일 수 있다. 실제 개발된 센서는 기존 탄소나노튜브 기반 바이오센서 대비 100배 이상의 민감도를 보였다. 이 센서는 알츠하이머병의 대표적인 바이오마커(질병의 진행 정도를 ... ...
"이미지 더 선명하고 피폭량 확 줄였다 " 신개념 디지털 엑스선 발생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5
전계방출은 전기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디지털 방식으로 수백 나노초(ns, 1ns는 10억
분
의 1초) 간격으로 작동을 멈추거나 재개할 수 있다. 기존보다 1만 배 빠른 속도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혈관 수술을 할 때 촬영 대상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속도를 조절해 보다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체온을 올리면 건강에 좋은걸까
2020.01.14
UCP-2 유전자가 발현되는 생쥐를 만들었다. UCP-2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가 에너지
분
자인 ATP를 생산하는 대신 열을 발생하게 만든다. 그 결과 시상하부의 온도가 주위보다 약간 더 높다. 시상하부는 이를 바탕으로 적정 체온을 판단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변이 생쥐는 체온이 0.3~0.5도 낮아졌다. ... ...
2시간만에 정확하게 폐결핵 진단 '슬림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14
없다”며 “신속하고 정확할 뿐만 아니라 얇은 필름 한 장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보다 10
분
의 1정도 저렴하게 환자를 진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객담 외에도 환자에게서 추출한 다른 시료로부터 병원균을 농축해 DNA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폐결핵 외에도 다양한 질환을 ... ...
중국·유럽·호주도 수소경제로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4
수소
분
야를 성장시켜 에너지 수출 자원 중 하나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세계 석탄의 3
분
의 1을 수출하는 호주는 풍력과 태양광 등 풍부한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토대로 에너지 수출 구조를 청정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이다. 수소 로드맵을 2014년 가장 먼저 발표한 국가인 일본은 수소경제에서 ... ...
종이·반도체 생산 필수 '과산화수소' 생산효율 8배 높인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4
1kg으로 하루 2.7t을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새로 개발한 촉매는 팔라듐 가격의 2000
분
의 1 수준으로 저렴하고, 110시간 이상 연속으로 과산화수소를 생산한 뒤에도 성능의 98% 이상을 유지했다. 성 부단장은 “철, 코발트, 니켈 등 비교적 값싼 원자가 그래핀 위에 안정적으로 있을 때 전기화학반응 ... ...
스스로 빛내고 알아서 선명하게… 디스플레이가 살아 숨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디스플레이 제품을 선보였다. 이 디스플레이는 스스로 빛을 내는 100마이크로미터(100만
분
의 1m) 이하의 작은 LED 하나하나를 화소로 쓴다. 자체 발광이라 백라이트가 필요없고, 형태나 크기에 제약이 없는 게 특징이다. 수십 인치 크기의 가정용부터 100인치 이상 크기의 상업시설용 대형 스크린까지 ... ...
‘미세먼지 없애는 음악’ 음파 기술로 작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달린 장비를 조절하고 있다. 동아사이언스DB 기존에 미세먼지를 잡는 기술은 대부
분
필터에 공기를 통과시키는 방식이다. 하지만 필터를 매번 갈아줘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필터를 달면 공기를 빨아들이는 모터 등 추가 장치가 필요하다. 반면 이 기술은 미세먼지를 뭉치게 해 제거하는 기술이라 ... ...
“플라스틱 사용 제한이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0.01.12
않는다는 점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기업들은 플라스틱에서 생
분
해성 소재로 전환한다 하더라도 탄소 배출량을 늘릴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 반대로 포장 기술의 혁신이 현재 기후변화 추세에서 플라스틱보다는 경쟁력이 있다고 믿는 기업들도 있었다. 다만 ... ...
이전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