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2 정자, 난자, 배아 얼려 임신 조절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있었다.유리화동결법의 기본 원리는 고농도의 동결억제제를 이용해 세포 내 물을 상당
부분
제거하고, 이를 액체질소에 바로 담그는 초급속냉동법이다. 이름에서 ‘유리화’는 동결과정 중 세포 내 수분과 동결억제제가 결정이 만들어지지 않는 유리처럼 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즉 이 ... ...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SRY(Sex determination Region of Y chromosome)라 불리는 이 유전자는 Y 염색체의 짧은 팔의 끝
부분
에 위치하고 있다. SRY는 생쥐에서도 발견됐는데, SRY를 XX 암컷의 생쥐에 형질전환시켰을 때, 즉 SRY 유전자를 XX 암컷 쥐의 배아줄기세포에 넣은 다음 발생시켰을 때 수컷이 만들어졌다. 이로써 SRY ...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솔루션들이 한 끌개로 강하게 빨려 들어가는 공간 구조를 ‘퍼넬’(funnel)이라 하는데 대
부분
의 단백질은 하나의 지배적 퍼넬을 가진 서열이어야 한다. 두개 이상의 경쟁적 퍼넬을 가진 서열이 있다면 세포의 상태에 따라 다른 3차원 구조를 갖는 단백질로 존재할 것이다. 문제공간의 속성상 이런 ... ...
대형 구조물 안전 책임지는 시뮬레이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설계자의 상상력에 경탄하면서도 내심 기둥 세개에 얹혀 있는 거대한 가슴 윗
부분
이 혹시 무너지지는 않을까 걱정이 되는 것도 사실이다. 지난 1990년대 중반 성수대교와 삼풍백화점 붕괴의 충격이 아직까지도 우리들의 가슴에 하나의 상처로 남아있기 때문이리라.우리나라의 대외 이미지에도 ... ...
1 체온 2℃만 내려도 1백50살까지 산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분비하는 세포는 난소의 피질(겉껍질)에 존재한다. 이에 따라 떼어낸 난소 중에 피질
부분
만 발라낸다. 이를 다시 얼리기 적당한 크기로 조각낸 다음, 일종의 부동액인 동결억제제로 처리한다. 이렇게 준비된 난소 절편을 영하 39℃까지 서서히 얼린다. 이 온도 이하에서는 얼음결정이 생성되지 않아 ... ...
${10}^{-15}$m 펨토세계에서 새로운 입자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중 에너지상태가 다른 경우는 수십여개가 된다. 물리학자들은 이 정도는 단지 아주 작은
부분
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이들의 확인은 양성자나 중성자의 구조 연구에 아주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그 까닭에 현재 핵·입자 물리학계의 최대 연구과제 중 하나가 되고 있다.실제로 미국의 ... ...
천하무적 풍선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갖다대도 터지지 않는 풍선■ 왜 그럴까?!풍선에 불꽃이 닿으면 불꽃의 열 때문에 그
부분
이 녹아 구멍이 뚫려 풍선이 터진다. 그런데 풍선 안에 물을 담고 불꽃에 대면 한동안 터지지 않고 버틸 수 있다. 불꽃에서 발생하는 열이 풍선 안에 담긴 물에 전도되기 때문이다. 물에 전도된 열은 ... ...
올빼미족과 새벽족의 생물학적 차이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사람에 비해 ‘Per3 유전자’가 짧았다. Per3 유전자는 뇌에서 생체시계를 관장하는
부분
을 작동시키는데 관여한다.아처 박사는 “인간의 뇌는 명암 정보를 바탕으로 지구자전주기인 24시간에 생체시계를 맞춘다”며 “매일 인간은 생체시계를 조금씩 다시 조정한다”고 말했다. 그런데 유전자로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태생 1961년 캘리포니아 공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1963년에 벨전화회사의 전파천문
부분
연구원이 되었다A A 펜지아스와 함께 공중에서의 전파잡음을 측정하다가 3K의 우주배경복사를 발견했다1978년 펜지아스, 저온물리학에 업적을 올린 P L 카피차와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수상했다 현재의 ... ...
한국 최초의 우주센터 외나로도에 건설 박차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올리기 위한 발사체의 경우 1단의 크기만 10m가 넘는다. 따라서 로켓은 3개월 전부터
부분
별로 부품을 들여와 조립한다.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단별조립동에서는 각 단을 동시에 조립한다.로켓에 실릴 인공위성은 로켓과 비슷한 시기에 도착하지만 조립이 끝난 완성된 형태로 우주센터에 ... ...
이전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