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알루미늄과 강철의 키 커지기 경쟁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빠져나온 공기가 둥근
부분
의 안쪽면에 닿으면 소용돌이가 생긴다. 이 소용돌이가 둥근
부분
안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것이다. 피리에서 소리가 나는 것도 같은 원리다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경우를
부분
상동염색체라 하며 이 경우 같은
부분
에서만 접합이 일어나고 비상동의
부분
은 접합하지 않는다 미지함수(未知函數)가 독립변수 하나만을 가지는 미분방정식 상반방정식 상자성 상태에서의 전자 스핀 공명 전자 상자성 공명(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 EPR)이 라고도 한다상자성 이온을 ...
2 이보다 더 얇고 가벼울 수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개발디스플레이에서 다양한 색깔을 동영상으로 생동감하게 나타나려면 빛을 내는 발광
부분
(화소)를 전기적으로 끄고 켤 수 있어야 하고 또 빛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스위칭 역할을 해주는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필요하게 된다. 이 스위칭 소자 역시 유기물 재료가 ... ...
강간도 적응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나는지, 자연계에 얼마나 많은 적응들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인간의 마음과 행동의 어떤
부분
들이 적응인지에 대한 토론이었습니다. 특히 적응의 문제는 생물학 내부의 논쟁을 넘어 우리의 일상과도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토론의 제목을 다소 선정적으로 정했습니다. 이점 이해해 ... ...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깎여 비교적 낮은 구릉성 산지가 된다. 우리나라 대
부분
의 산지가 노년기 지형이다. 높은
부분
이 다 깎여 거의 평지에 가까운 지형인 준평원이 형성되면 더이상 침식과 퇴적이 일어나지 않는다. 북한에 있는 낙랑준평원이 이런 지형이다.준평원이 융기해 산지를 형성하면 산 정상부는 평탄하다. 이를 ... ...
지문보다 정확한 제2의 신분증 홍채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다른 이유눈의 색깔이 인종마다 다른 이유도 마찬가지다. 눈의 색깔은 눈동자의 가운데
부분
인 동공을 둘러싸고 있는 홍채의 색깔에 따라 결정된다. 이 홍채의 색깔은 홍채 상피세포에 멜라닌색소가 얼마나 많이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인종에 따라 홍채에 있는 멜라닌색소의 양이 다르다. 흑인 ... ...
유방암 있는 곳에 바이러스도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결과 바이러스가 종양이 있는
부분
과 정확히 같은 곳에 있었으며, 종양이 없는 다른
부분
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는 것이다. 로빈슨 박사는 “암이 있는 곳에 바이러스도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며 “암이 치료되면 바이러스도 없어진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심한 악성 종양일수록 바이러스도 많이 ... ...
별밭에 숨어 있는 보물 석호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조금 작다. 소형망원경에서는 석호성운의 서쪽이 훨씬 더 밝게 느껴져서 상대적으로 동쪽
부분
이 잘 보이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또 동쪽의 성운 중앙에는 별들이 모인 성단이 성운과 혼합돼 있는데, 가끔 이 성단의 별빛이 성운의 모습을 흐리게 하기도 한다. 이 성단은 망원경으로 볼 때 2 ... ...
1. 미국 최악의 정전사태 맞은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이런 전력으로는 형광등이 깜빡거려서 백열전등이나 사용할 수 있을 정도다. 현재 대
부분
의 가정에 보급돼 있는 컴퓨터 사용은 아예 불가능하다.최근 발전하는 첨단 정밀산업 공장에서는 기계가 정밀하게 제어돼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품질의 전기를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에 정밀한 ... ...
3 분자 하나로 컴퓨터 메모리 기능 수행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 우선 이 소자에 충분한 전압과 전류를 흘려줄 수 있는 구동회로
부분
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유기분자 소자로는 구동이 어렵기 때문에 처음부터 실리콘 칩과 별개로 제조되기보다는 초기에 실리콘 기술과 복합된 형태의 분자전자소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