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큰 안목을 지녀야 한다는 점을 알리고 싶다. 한국 역사는 특히 19세기 이후는 세계사의 한
부분
일 수밖에 없다. 역사를 연구하는 사람들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역사를 보는 안목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계속 얘기할 생각이다.장회익끼30여년 간의 서울대 교수 생활을 마감하고 올해 초 녹색대학 초대 ... ...
2 새로운 초전도체 존재 예측 혼돈의 초유체 원리 밝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전기 저항이 없어지는 현상을 설명했다. 그러나 세사람의 이론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부분
이 있었다. 초전도가 되면서도 자기장이 없어지지 않는 물질을 설명할 수 없었던 것이다.올해 수상자 아브리코소프 박사는 지난 1950년대 긴즈부르크 등 여러 학자들이 내놓은 이론을 발전시켜 2종 초전도체의 ... ...
진화는 1백m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있어서 서양음악과도 다른 것 같던데요. 관련된 이야기가 나올 수도 있을 것 같으니 이
부분
에 대해서는 그동안 묵묵히 서기로 수고해주고 계신 장 박사가 한마디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참석자들 중에 유일한 동양인 아닙니까?드디어 나에게도 기회가 온 것일까? 어제 다윈의 식탁 둘째날이 끝나고 ... ...
뇌 단백질 구조에 따라 기억력 차이나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10월 19일자에 발표했다.지능은 여러 요소가 복합돼 나타나는데, 그 중 기억력이 중요한
부분
을 차지한다. 개인마다 지능에 차이가 있는 것은 유전과 환경 요인의 영향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는 유전의 영향으로 기억력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가능성에 힘을 실어줬다.뇌에 존재하는 ... ...
북쪽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모습은 알기 어렵다. 다만 중심부에 밝은 핵이 존재하고 가장 자리로 매우 어두운
부분
이 상당히 넓게 타원형으로 퍼져있다는 점이 눈에 띤다.M33을 관측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밤하늘의 상태이며 그 다음이 낮은 배율이라고 보면 된다.이달의 밤하늘에 어떤 일이? 사라져 가는 사자자리 유성우최근 ... ...
1 우주로 가는 중국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2.72m, 폭 10.06m다. 세부적으로 보면 많은 차이점이 있다. 이로 보아 중국이 우주선의 많은
부분
을 자체개발해 개량한 것으로 보인다.외견상 소유즈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궤도 모듈’에 자체 발전을 위한 커다란 태양전지판이 달려있다는 점이다. 궤도 모듈은 주로 과학 탑재체가 실리는 ... ...
로켓개발 용쟁호투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CZ-2F는 CZ-2E에 더욱 신뢰성이 높은 시스템을 채용하고 유인우주선을 탑재하도록 상단
부분
을 개량했으며, 비상탈출용 로켓을 부가한 형태다.CZ-2F는 유인우주선 발사용답게 100%의 발사성공률을 갖고 있다. 현재 중국은 유럽의 아리안 5호에 버금가는 차세대 발사체인 CZ-NGLV를 설계하고 있다. ... ...
바람난 제주 돌담 태풍을 막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무너져도 돌담 전체가 무너지는 피해를 주지 않게 된다. 설사 무너진다고 하여도 그
부분
만을 쉽게 보수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측면에서도 편리하다. 이런 점에서 돌만으로 짜여진 제주의 돌담은 일종의 공동체 의식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척박한 환경 속에서 개인의 힘은 너무나 미약하다. ... ...
뇌 영상의 마법사 MRI 고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내부를 알고 싶어하는 인간의 오랜 욕구를 해소시켜준 것이다.20세기 과학의 시작은 대
부분
1895년을 그 기점으로 잡는다. 1895년은 독일의 과학자 뢴트겐이 음극선관 실험을 하다가 X선이라는 새로운 종류의 광선을 발견한 해였다. X선의 발견으로 방사선 과학이 시작됐으며, 뢴트겐은 이 탁월한 ... ...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급격히 변했다.인류는 5백만년 이상의 진화 과정을 통해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대
부분
의 기간을 식량이 부족한 상태에서 살아왔다. 그러나 최근 먹거리가 풍부해지면서 갑자기 영양 과잉의 상태가 됐다. 이런 상태에서 장내 세균이 하루 수백kcal를 공급하므로 결국 우리는 더 살찌게 돼버렸다.이런 ... ...
이전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