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밤하늘에 핀 장미한송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상당히 크다. 이 성단에서 가장 밝은 별은 5.8등급의 노란색 별로서 나란한 두줄의 끝
부분
에 위치해 있다. 다른 별들은 푸른색의 별들로 그 모습이 상당히 인상적이다. 성단을 이루는 별들의 수는 대략 20여개를 헤아릴 수 있다.성단의 주변은 엷은 커튼이 드리워진 것처럼 다소 답답한 느낌을 얻는다.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입은 기억상실증 환자를 대상으로 기억과 시간의식에 대해 조사했다. 기억이 입력되는
부분
인 해마가 손상된 환자는 1분 이상의 기억을 유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런 사람들은 정보를 학습해 새로운 기억으로 저장하지 못하는 전향성 기억상실증을 보인다. 그러나 과거의 기억은 어느 정도 떠올릴 ... ...
신나는 콘서트, 즐거운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그 각각의 기능들이 무엇인지를 밝혀내는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이다. 뇌의 어떤
부분
이 기억과 학습과 감정과 창조에 관련되는 일을 하는지 너무나 궁금하다며 열정적인 설명에 빠져드는 정 교수의 모습을 보니 조만간 뇌와 관련된 책이 나오지 않을까 기대됐다.조만간 발간을 기다리고 있는 그의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결정면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아도 결정의 방향이 일정하면 단결정이라 한다 이에 반해 대
부분
의 금속체들은 작은 결정이 결정입계(粒界)를 서로 맞대어 모여 있기 때문에 다결정이다 이와 같은 입계가 있으면, 즉 다결정이면 그곳에 불순물이 모이게 되어 한 결정의 내부와는 다른 성질을 가지게 ... ...
2003년 한국의 쿨한 과학상품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한국과학기술원과 산학헙력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한 첨단 골프화 버디. 2003년 인간공학
부분
우수디자인상품으로 선정됐다. 발의 운동으로 작동하는 자체 에어펌프가 들어있어 열기를 밖으로 배출하고 신발 속을 자연 통풍시켜 준다. 걸음걸이를 가볍게 하고 피로감을 줄이도록 독특한 굴곡형태를 ... ...
용액으로 만드는 거울의 마술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거울에 반사돼 입체적인 도형으로 보인다. 또 삼각뿔 만화경 끝의 삼각형 모양으로 뚫린
부분
에 셀로판지를 붙이면 이 역시 거울에 여러번 반사돼 색깔있는 별 모양의 입체로 보인다. 이를 응용하면 만화경 안에서 여러 종류의 다면체가 보이게 할 수 있다.정이십면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정삼각형이 ... ...
파도 이기는 프랙탈의 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몇 개로 갈라지고, 그 갈라진 가지는 또 작은 가지들로 나뉜다. 이런 패턴이 줄기 끝
부분
까지 수차례 반복된다.프랑스 에콜폴리테크닉 물리학과 베르나르 사포발 교수팀은 해안이 파도에 의해 침식되는 과정을 컴퓨터에서 재현했다. 바위의 물성을 지닌 매끄러운 물체의 표면에 파도를 때리는 ... ...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이르렀다. 그것도 지배계층만 그랬을 뿐 그리스와 로마의 평민들은 하루를 서너
부분
으로 나눴다. 그 중 하나의 이름은 갈리칸투스, 즉 ‘수탉이 울 시간’이다. 이후의 역사에서 서양 문명이 세계를 제패하지 않았다면 지금 세계는 여전히 지역에 따라 다른 시간 체계를 썼을지도 모르고, 우리 극동 ... ...
손바닥 방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독자적으로 연구해 내놓은 최초의 표준안이라는 점에서 또다른 의의를 가진다. 물론 각
부분
별 표준은 국제 표준을 따르고는 있으나, 전체 시스템으로 보면 그러하다는 뜻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디지털 방송 기술력이 이미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섰다는 것을 의미한다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동쪽편인 밝은
부분
으로 잠입해 사라진다. 약 1시간 뒤인 6시 30분 경이 되면 달의 어두운
부분
인 서쪽에서 다시 별이 그 모습을 드러낸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하늘이 밝아올 것이다.성식은 맨눈이나 쌍안경, 망원경으로도 관측할 수 있는 흥미로운 천문 현상이다. 고대사에 남겨진 성식의 관측 ... ...
이전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