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목소리가 보인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다를 때는 소리의 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길이의 끝
부분
만, 같을 때는 양쪽 끝
부분
모두가 진동할 것이다.우리 귀 안에서도 이와 비슷한 일이 일어난다. 공기의 진동으로 발생한 음파가 귓바퀴에서 모아진 후 고막을 진동시킨다. 고막의 진동은 청소골에서 증폭된 다음 달팽이관으로 전달된다.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기술하기 위한 물리학일상생활에서는 전하(대
부분
의 경우 전자)가 지나가는 대
부분
의 통로는 3차원이다(예: 전자제품속의 구리선) 이러한 3차원의 전도체를 한쪽 방향으로 납작하게 만든다면 전자의 운동은 2차원으로 구속될 것이다 이처럼 전자의 운동이 2차원에 구속된 구조를 양자우물이라고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일러스트레이션에서도 찾을 수 있다. 엷은 분홍색 돼지의 몸통에는 엷은 하늘색이
부분
적으로 칠해져 있다. 바닥에 있는 개울물의 반사를 표현한 것이다. 개울물의 반사를 표현하기 위한 경우가 아니라면 핑크색과 하늘색은 같이 쓰이지 않았을 것이다.이 일러스트레이션의 작가는 반사광을 무난히 ... ...
겨울 밤 남쪽 밤하늘을 장식하는 보석 두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0°만큼 움직여보면 나란히 늘어선 밝은 별 둘을 만난다. 이 두별이 바로 고물자리의 배끝
부분
을 나타내는 별들로 두 성단을 찾아가는 기준이 된다. 성단은 두별 중 서쪽별에서 약간 떨어진 북쪽에 위치해 있다.성단은 맨눈으로 보일까? 맑은 날씨에 주변 불빛이 없다면 별들의 집단이 어슴푸레 ... ...
무한질주 슈퍼카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힘이 배어난다. 이 가운데 빠른 속력과 가속력, 우수한 제동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
은 바로 엔진. 다른 차량과 마찬가지로 슈퍼카에게 있어 엔진은 심장과도 같은 존재다. 탄소섬유, 티타늄, 비행기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소재로 이뤄진 슈퍼카의 엔진은 매우 가볍지만 5백50-1천마력 이상의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부분
끼리 결합해 이중나선을 이루게 된다. 끝
부분
이 결합되면 중간 중간 비어있는
부분
이 생기는데 이는 DNA 중합효소가 들어가 새로 DNA를 합성해 채워 넣었다. 벤터 박사는 이 방법을 중합효소연쇄합성(PCA)라고 이름 붙였다.에너지문제 해결할 클린 미생물 벤터 박사는 셀레라 지노믹스사를 설립, ... ...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과학기술자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건강하게 먹고 사는 문제’에서 과학과 기술이 출발한다는 저자의 생각이 잘 드러나는
부분
이다.그중에서도 조선시대 의학기술은 그동안 저자가 꾸준히 연구해온 전공 분야다. 한국 과학사 연구의 1세대로 불리는 박성래 교수와 전상운 교수가 각각 물리학과 화학을 연구한 과학자로서 과학사에 ... ...
물리학으로 풀어낸 물수제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물에 부딪힌 돌은 계속 뒷
부분
이 물을 치고 나갔다. 이때 수면과 들려져 있는 돌의 앞
부분
은 75°의 각도를 이뤘다.두번째 연구는 30년이 지나서 이뤄졌다. 2002년 보케 교수는 ‘아메리칸 저널 오브 피직스’에 물수제비에 대한 수학적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가 밝힌 공식에 따르면 물수제비 회수는 ... ...
3. 거리_디지털 거리를 걷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Thin Shop)에서는 사고 싶은 물건을 감지만 할뿐 상품들은 모두 집에서 받아본다. 대
부분
의 생필품 광고는 개인 휴대단말기나 탁자 표면을 통해 이뤄지는 것은 물론이다.사무실과 가정, 거리, 공원 등 물리적 공간의 경계는 결국 허물어질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쉬워지고 거리의 모든 벽이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종선택은 이런 이유 때문에 실제로 일어납니다. 이 점은 다윈과 도킨스 모두가 간과한
부분
입니다.도킨스 교수를 비롯한 진화론자들은 자연선택의 중요성을 지나치게 강조합니다. 저도 자연선택의 힘은 부인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런 자연선택이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변이의 본성에 대해서는 ... ...
이전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