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광합성에서 초강력 레이저까지! 빛의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뒤섞여서 만들어진 결과인 거예요.레이저는 그중 단 하나의 파장만으로 만들어요. 1960년 미국의 물리학자 시어도어 메이먼이 처음 만들었는데, 그 뒤로 발전을 거듭해 오늘날에는 레이저가 빛의 연구를 이끌고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아요.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레이저광주과학기술원 ...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때문에 아직 논란이 남아 있어요. 독성 물질들이 소화기 질환을 일으킬 수도 있거든요.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도 오염 위험 때문에 스피루리나에 대해 ‘안전할 것이다’ 정도로 판단을 애매하게 내렸답니다. 한편 우리나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아직 독성이 보고된 적은 없다고 밝혔어요 ...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있는 얇은 도넛 모양의 영역을 말해요. 1949년 아일랜드의 천문학자 에지워스와 1951년, 미국의 천문학자 제러드 카이퍼가 가설로 예측한 영역으로 이곳에 천체들이 모여 있다고 생각했어요. 이후 관측 기술의 발달로 지금까지 수천 개의 천체가 발견돼 카이퍼 벨트의 존재가 입증되었답니다.하지만 ...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돼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았어요.초석과 구아노 때문에 주변국들과 영국, 프랑스, 미국 등과 같은 서구 열강은 남아메리카 서부 지역에 눈독을 들이며 호시탐탐 기회를 노렸어요. 결국 1879년, 칠레가 볼리비아에 선전포고를 하며 자원전쟁이 시작됐어요. 볼리비아는 페루와 동맹을 맺으며 칠레에 ... ...
- 보아뱀이 먹이를 먹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새, 도마뱀 등을 잡아먹어요. 처음엔 이빨로 먹잇감을 물고 몸으로 칭칭 감지요.최근 미국 디킨슨대학 스콧 보백 교수팀은 제가 먹이를 칭칭 감은 뒤 어떻게 죽이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마취한 쥐를 보아뱀에게 준 뒤 관찰한 거예요. 그 결과 마취한 쥐의 혈액순환이 멈추는 것을 ... ...
- [과학뉴스] 태양계 밖에도 오로라가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그레그 할리난 교수팀은 거문고 자리에 있는 작은 별 ‘LSRJ 1835+3259’에서도 오로라를 볼 수 있을 거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오로라는 태양에서 나온 대전입자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지구로 오면서 지구 대기와 반응해 빛을 내는 현상이에요. 주로 극지방에서 ... ...
- 지구의 사촌 행성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밝혀지지 않았어요. 과학자들이 바위로 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측하고 있을 뿐이죠.미국항공우주국의 존 젠킨스 박사는 “케플러-452b를 나이 많고 덩치가 더 큰 지구의 사촌이라 생각할 수 있으며, 이 사촌을 통해 지구의 진화 과정을 알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답니다 ... ...
- 풍선으로 띄우고, 우주로 보내고~ 새로운 인터넷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NASA는 레이저와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달 궤도 위성과의 통신에 성공했답니다.연구팀은 미국 뉴멕시코주에 있는 전파망원경 네 대로 강한 레이저를 쏘아 지구에서 38만km 떨어진 인공위성에 보냈어요. 인공위성은 이 레이저를 수신한 뒤, 잘 받았다는 답을 다시 지구로 보냈지요. 레이저는 지구 ... ...
- 명왕성의 진짜 얼굴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명왕성에 대한 데이터를 지구로 보낼 예정이에요. 뉴호라이즌호가 밝힌 명왕성의 비밀은 미국항공우주국 뉴호라이즌호 홈페이지(https://www.nasa.gov/mission_pages/newhorizons)나 트위터(twitter.com/NASANewHorizons)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답니다 ... ...
- 부드러운 몸으로 점프하는 로봇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미국 하버드대와 캘리포니아대 연구팀이 딱딱한 기계 심장에 말랑말랑한 몸체를 가진 로봇을 개발했어요. 캘리포니아대 마이클 톨리 교수는 홍합이 부드러운 면과 딱딱한 면을 모두 활용하는 모습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로봇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로봇의 딱딱한 심장에는 ... ...
이전5145155165175185195205215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