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2,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콩벌레 vs 쥐며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222
- 쥐의 며느리니까 쥐겠지! 뭐가 헷갈려? 엥? 그런데 둘이 정말 정말 닮았네? 이건 구분 못 해!그냥 헷갈릴 수밖에 없어! 콩벌레쥐며느리과에 속한 절지동물이에요. 쥐며느리와 무척 비슷하게 생겼지요. 몸 색깔은 어두운 갈색이거나 회색이고 나무껍질, 낙엽, 돌 밑과 같은 습한 곳에 살아요. 낮에는 ... ...
- 미역 vs 다시마어린이과학동아 l201219
- 미역과 다시마는 모두 요오드와 칼슘, 식이섬유가 많은 건강식품으로 누가 더 낫다고 구분할 수 없을 정도라고! 어과동이 생일이라며? 난 어과동 생일에 다시마국을 끓여 먹고 라면에는 미역을 넣어 먹겠어~! 깔깔깔깔깔 ... ...
- 돼지 기생충이 병을 치료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218
- 병을 말하죠. 과학자들은 면역계를 튼튼하게 만들면 자신의 장기와 외부 침입균을 구분해 더 이상 장기를 공격하지 않는다고 설명해요. 즉 자가면역질환이 치료된다는 얘기죠. 특히 최근에는 자가면역질환이 증가했기 때문에 부작용 없는 치료약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많아졌어요.자가면역질환으로 ... ...
- 고슴도치 vs 호저어린이과학동아 l201216
- 뭐가 뭔지…,정말 헷갈리는군! 고슴도치가시털’의 길이를 보면 고슴도치와 호저를 구분하기 쉬워요. 고슴도치의 가시털은 약 2.5㎝로, 고슴도치의 등에는 이런 가시털이 7000개 정도 나 있어요. 고슴도치는 가시털을 ‘방패’처럼 쓴답니다. 적이 오면 몸을 동그랗게 말아서, 적이 접근할 수 없게 ... ...
- 얼음 vs 드라이아이스어린이과학동아 l201215
- 기체로 바뀌지. 잘 보이진 않지만 얼음 주변에서도 하얀 안개가 보일 때가 있어. 둘을 구분하는 방법은 간단해. 얼어 있는 덩어리가 투명하게 보이면 얼음, 하얗게 보이면 드라이아이스야. 하지만 얼음도 갈아놓으면 빛을 반사해 하얗게 보이니까 헷갈릴 걸~. 깔깔깔 ... ...
- 게임시간? 엄마와 정해 보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214
- 술이나 마약을 끊지 못하는 것처럼 게임에도 중독될 수 있어요.게임 속 세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하게 되죠. 그래서 잔인한 게임을 많이 하는 청소년들은 다른 친구들보다 더 폭력적으로 변할 수도 있답니다. 어른들이 굳이 간섭하지 않아도 스스로 게임시간을 조절하는 자제력을 길러 보자고요 ... ...
- 일식 vs 월식어린이과학동아 l201213
- 어디서나 볼 수 있기 때문에 월식보다 훨씬 자주 볼 수 있답니다. 일식과 월식, 한 번에 구분하는 비법!태양이 가려지면 일식, 달이 가려지면 월식이에요. 그 중에서도 태양의 일부분이 가려지면 부분일식, 태양이 모두 가려지면 개기일식이지요. 반대로 달의 일부분이 가려지면 부분월식, 모두 ... ...
- 과학으로 그린 비밀의 정원어린이과학동아 l201213
- 산성비가 내리면 색이 변하는 리트머스 이끼도 있는데, 과학 시간에 산성과 염기성을 구분할 때 쓰는 리트머스 종이는 리트머스 이끼의 성분을 추출해서 만들지요.높고 바위가 많은 곳엔 고산지대 식물을!곤지암수목원에는 경사진 곳과 바위가 쌓여 있는 곳이 많아요. 그래서 이런 환경에 적합한 ... ...
-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여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김도연위원장님수학동아 l201212
- 빨리 학생들의 미래를 위해 문과와 이과의 구분은 없어져야 된다고 생각합니다.문이과 구분으로 일찌감치 나뉘어서 그런지 많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데에 수학이 필요하다고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일상을 살아갈 때 수학을 알아야 하는 이유가 뭘까요?김도연 위원장 : 갈수록 세상은 복잡해지고, ... ...
- 골뱅이 vs 우렁이어린이과학동아 l201212
- 껍데기가 뾰족하게 솟은 모양이고, 큰구슬우렁이는 둥근 나선형 껍데기이기 때문에 쉽게 구분할 수 있지요. 둘 다 요리에 들어가면 쫄깃한 맛을 내지만 큰구슬우렁이는 모랫바닥에서 살기 때문에 모래가 씹히는 경우가 있고, 물레고둥보다 좀 더 질기다고 해요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