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2,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보] 교과서만 있으면, ‘확률’은 문제없어!수학동아 l201210
- 즉, ‘사건 A 또는 사건 B가 일어날 확률’과 ‘사건 A와 사건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을 구분할 줄 알아야 확률을 정복할 수 있죠.이 두 가지가 헷갈린다면 사건 A가 사건 B를 대신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생각해 보세요. 장갑을 끼고 양말을 신어야 하는 경우에는 장갑이 양말을 대신할 수 없으니, 이 ... ...
- [변신] 일곱 손가락과 여덟 발가락 문제과학동아 l201209
- 100%의 손가락이 아니라 140%의 손가락이다. 40% 차이지만, 오랜 역사 동안 사람들은 이를 구분해왔다. ‘비정상’이라고. 그래서 무표정해 보이는 샤갈 그림속 주인공의 눈에는 다른 부류가 된 인간만이 느낄 수 있는 슬픔이 깃들어 있다.“이런 ‘다지증’은 염색체 이상으로 발생 과정에서 손가락이 ... ...
- [knowledge]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209
- 결과일 뿐, 특별한 요인은 아닙니다. 더구나 인종이라는 개념 자체가 생물학적으로 서로 구분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니라는 사실도 밝혀졌습니다. 피부색을 둘러싼 논쟁은 더 이상 필요없는 것처럼 보였습니다.하지만 피부와 관련한 미스터리는 다 풀린 게 아닙니다. 오히려 복잡하고 다양한 의문이 ... ...
-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1209
- 바닷속에 무엇이 있는지 확인했는데, 거북선을 만든 나무와 진흙은 밀도가 비슷해서 구분하기가 어려워요. 이런 한계를 뛰어넘는 첨단 장비와 해저 탐사에 쓰이는 시추 장비를 사용한다면 더 정밀하게 바닷속을 살필 수 있답니다. 역시 조선 최고의 명탐정답군! 여봐라~. 이제 내 거북선이 어디 ... ...
- PART 3. 전기차보다 하이브리드과학동아 l201209
- 따라 직렬형/병렬형/복합형으로 나뉘고 하이브리드 정도에 따라 하드/소프트 방식으로 구분된다. 직렬형은 전기 모터만 이용해 자동차를 구동하고 엔진은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한다. 병렬형은 엔진과 모터를 함께 사용해 자동차를 움직인다. 복합형은 둘을 결합해 상황에 따라 모터만 ... ...
-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초과학동아 l201209
- 부른다.광시계는 중성원자를 이용하는 광격자시계와 이온을 이용하는 이온 광시계로 구분할 수 있다. 한국표준과학연에서는 이터븀(Yb)원자 광격자시계를 개발하고 있다. [독일 표준기관(PTB) 스트론튬 광시계의 진공 챔버. 스트론튬 원자가 푸른색 형광을 내고 있다.]1초의 정의 달라질까광시계는 ... ...
- 과학적인 지도의 탄생과학동아 l201209
- 맞습니다. 그런데 2차 대전 때 교회가 심하게 폭격을 받아서 어떤 게 누구의 유골인지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무덤이 파괴됐어요. 그래서 그냥 무덤을 덮고 그 위에 교회를 재건했지요.”다소 실망스러운 대답이었지만, 그 직원은 뒤스부르크의 지역 박물관에 메르카토르 전시관이 있다고 알려줬다. ... ...
- Part 2. 엄마가 되면 뇌는 더 똑똑해진다과학동아 l201209
- 뇌에서도 관찰되는 현상이므로 비슷한 현상이 산모에게도 일어나 나중에 자녀의 냄새를 구분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기억력 좋아지고 대담해져출산과 육아는 엄마의 정서와 감각에만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다. 킨슬리 교수팀과 미국 랜돌프-메이콘대 심리학과 켈리 램버트 교수팀은 지난 199 ... ...
- [에필로그] 변신+합체. 천사의 날개를 진화시킬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209
- “K야, 너는 괴물이 아니야. 괴물은 그저 사람이 붙인, 정상과 비정상을 인위적으로 구분한 결과물일 뿐이야. 페레 알베르히 하버드대 전 생물학과 교수는 1989년 ‘괴물의 논리’라는 두툼한 논문을 썼지. 그 논문의 첫머리에는 새의 부리 길이를 비롯한 다양한 동물의 다른 모습, 즉 이형이 실려 ... ...
- 2012 한반도를 습격하다! 말벌과학동아 l201209
- 주요 4대 목이다. 꿀벌과 개미도 벌목에 속한다.도시인들이야 말벌과 꿀벌을 간신히 구분하는 수준이겠지만 눈썰미가 좋았던 우리 조상들은 말벌과 곤충을 크기나 형태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불렀다. 말벌과 땅벌, 쌍살벌이다. 흥미롭게도 분류학에서도 이들은 각자 속명이 다르다. 최 박사는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