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기"(으)로 총 3,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시화호 조력발전소, 환경과 문화까지 살리다과학동아 l201407
- 조력발전소는 밀물 또는 썰물 때 밀려들거나 나가는 바닷물의 힘으로 수차를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 기존의 배수갑문에 새로 만든 수문, 발전 수차까지 추가돼 드나드는 바닷물의 양이 월등히 많아졌다.한국수자원공사(K-water)의 자료를 보면, 조력발전소가 가동되기 전인 2011년 7월까지 월 평균 ... ...
- [Life & Tech] 한여름에 더운 바람이 솔솔~ 제습기의 불편한 진실과학동아 l201407
- 소비전력 당 제습능력이 에어컨보다 우수하다. 김용찬 고려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같은 전기에너지를 에어컨은 냉방과 제습에 나눠 쓰고 제습기는 제습에만 쓰기 때문”이라고 말했다.제습기는 그럼 아예 쓸모가 없다는 말일까? 그렇지만은 않다. 여기저기서 제습기를 구매해 아주 잘 쓰고 있다는 ... ...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수학동아 l201407
- 석탄을 태워서 움직이는 증기기관차로 운행됐기 때문에 매연이 심각한게 문제였다. 전기열차로 바뀐 다음에도 시민들은 지하철 노선도를 보기가 어려워 여전히 지하철을 자주 이용하지 않았다. 당시에는 지도 위에 지하철 노선을 그대로 표기했기 때문에 지하철역이 밀집해 있는 런던 중심부의 ... ...
- K-Pop 스타도 깜짝 놀란 홀로그램 콘서트의 비밀수학동아 l201407
- 대신, 눈속임 기술을 사용해 무대를 재현한 것이다.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2008년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이병호 교수 연구팀이 가로세로 약 4cm의 화면에 시야각 약 23°인 움직이는 홀로그램을 만들었다. 움직이는 홀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공간광변조기’라는 일종의 작은 화면이 필요하다. ... ...
- 아바타 기술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407
- 수많은 디지털 콘텐츠가 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뉴로 에르고노믹스’와, 적절한 전기 자극을 이용해 뇌질환을 치료하는 뇌 자극법이 뇌 연구를 토대로 한 대표적인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이처럼 뇌 연구를 바탕으로한 첨단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뇌 연구의 기초에는 수학 연구가 ... ...
- 게임으로 알아보는 컴퓨터의 역사! 넥슨컴퓨터박물관수학동아 l201407
- 설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프리징’을 이용해 설계 도면을 만들고 아두이노를 통해 전기가 1초 또는 0.5초 단위로 흐르도록 ‘아두이노 스케치’ 환경에서 프로그래밍 했다. 아두이노를 노트북에서 분리하고 앞에 만들었던 빵판 스피커에 연결했다. 그러자 1초 단위로 전구의 불이 깜박이고 ... ...
- [이석영 연세대 교수]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과학동아 l201407
- “책을 많이 보세요. 어렸을 때부터 책을 많이 봐야 자기 철학이 생겨요. 스티브 잡스 전기를 작년에 봤는데 ‘잡스는 최고의 엔지니어가 갖지 못한 것을 갖고 있었기에 CEO가 됐다’는 생각을 하게 됐어요. 모든 분야가 그래요. 마지막 단계에서 다른 사람보다 앞설 수 있는 것은 그 분야의 전문성이 ...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과학동아 l201407
- 얼음과 드라이아이스를 발견했다. 그래서 원자력 및 태양광 발전기로부터 나오는 20kW의 전기를 이용해 산소와 이륙선의 연료가 되는 액체 산소와 메탄을 생산했다. 하루에 각각 100kg과 50kg 정도의 양이었다. 산소는 우선 승무원들의 생존을 위한 호흡에 썼고, 나머지 산소와 메탄은 화성자동차와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과학동아 l201407
- 아예 전지 소재를 섬유에 입힌 ‘섬유배터리(129쪽, PLUS 참조)’나 손목에 붙이면 체열로 전기를 생산하는 신개념 열전소자 등이 나오고 있다. 어떤 플렉서블 배터리가 가장 유연하고 안전하며 뛰어날지 알 수 없지만, 일단 상용화되면 시장에 미치는 파급력은 엄청날 것이다. 현재 쓰이는 네모나고 ... ...
-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수학동아 l201406
- 예술가…. 그는 스스로를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할까?“저는 예술가예요. 저는 대학에서 전기전자전파공학부를 졸업하고 대학원에 가서 또 공학을 공부했어요. 만약 제가 과학자가 되어 세계 최초로 개인 인공위성을 개발했다면, 사람들은 제 인공위성이 잘 작동하는지 못하는지 엄격한 시선과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