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행로
길
복도
진로
도로
길거리
입구
d라이브러리
"
통로
"(으)로 총 5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03
정상적 활동을 방해한다. 복어를 먹고 죽는 것은 복어 내장의 독(tetrodotoxin)이 ${Na}^{+}$
통로
를 차단해 세포의 기능을 중지시키기 때문이다.뉴런의 형태와 크기는 다양하지만 공통점을 지닌다. (그림2)는 뉴런의 일반적인 형태를 보인 것이다. 뉴런은 다른 세포와 마찬가지로 DNA의 유전정보를 번역해 ... ...
우뚝 선 메히코의 피라미드 나우아 문명
과학동아
l
199102
전역에 발달한 피라미드들은 제단이라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이곳 피라미드의 내부에는
통로
는 있으나 결코 묘소가 아님을 알아야 한다. 신정정치를 통해테오티우아칸부족은 대단한 문화민족이었는데 특히 피라미드나 신전 건축에 솜씨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도자기와 조각이 발달했다. 정치는 ... ...
장미꽃잎이 검게 물든 사연 식물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과학동아
l
199102
이동
통로
가 쇠약해지기 때문에 물질수송이 방해를 받는 것이다. 허술해진 영양물질 이동
통로
의 복구속도도 식물의 종에 따라 다르다. 예컨대 사탕무나 북반구의 엉겅퀴는 회복이 빨리 이뤄지지만 콩이나 남방의 엉겅퀴는 매우 느린 회복속도를 보인다.열대지방에 서식하는 바랭이의 일종은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02
수 있다. 즉 벌레구멍은 두 시공간이나 동일 시공간의 두 곳을 잇는 시공간의 좁은
통로
와 같다.성간여행 또는 은하간 여행에 이용할 경우, 벌레구멍이 검은 구멍에서 출발했다면 검은 구멍의 일방통행성 때문에 그 종점에서는 반대의 일방통행성을 가진 구멍이 필요하다(일반 버스를 타본 ... ...
일본의 기술
과학동아
l
199101
유럽에 이르는 실크로드는 과거 비단과 기타 극동지역의 산물을 서쪽으로 운송하는
통로
역할을 했다.(터키인들이 이 실크로드를 막았던 것은 결국 유럽인들이 아프리카를 순항하고 아메리카대륙을 발견하게 된 하나의 이유가 된다.) 이제 일본인들은 구 실크로드를 따라 아시아의 길이만큼 긴 ... ...
바다에 음파쏘아 지구 온난화 측정한다
과학동아
l
199012
한편 동물학자들은 돌고래나 다른 바다 포유류들이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
가 이 층이라고 생각하기에 음파측정 실험을 반대하고 있다. 실험에 쓰이는 소음이 동물생태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팀의 리더인 먼크 박사 자신도 '위험이 없다'고 장담하지 못한다.사실 ... ...
PARTⅠ 가변기구와 전자제어 전성시대 '자동차'
과학동아
l
199011
중저속의 영역에서 엔진의 힘, 즉 토크(torque)를 향상시키려면 흡(吸)·배(排)기밸브의
통로
면적을 대폭 넓혀 흡·배기의 저항을 감소시켜야 한다. 또한 점화 플러그가 연소실 중앙에 위치하게 하고 연소실 형상을 밀도있게 설계해야 한다. 그러면 연소실에서의 화염 전파거리가 단축되기 때문에 ... ...
양자중력이론으로 우주의 실체에 접근
과학동아
l
199010
즉 아기 우주에 도달할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블랙홀에서 다른 우주로 빠지는
통로
, 즉 웜홀(worm hole, 벌레구멍)에 대한 이론적 접근은 아직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아직은 미지수대학원시절부터 27년 동안 몸의 운동신경이 점점 마비되는 루게릭병(근위축성측색경화증)에 시달려온 호킹은 ... ...
PART3 쓰쿠바
과학동아
l
199010
있다고 볼 수는 없을 것 같다. 기술개발에 관한 정보교류는 체계적이고 공식적인
통로
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비공식적인 모임에서도 많이 이루어지는데 이 지역에서는 아직 그러한 분위기가 조성되지 못했다. 쓰쿠바 과학도시 자체가 계획적인 신도시인데다 서구적인 제도 및 ... ...
차별과 텃세속에 독자적인 길 걸어
과학동아
l
199008
한국인 과학자 가운데 세계속에 이름이 빛나는 사람들은 누굴까.그들은 어떠한 삶의
통로
를 지나 무슨 분야에서 조국과 자신과 가문의 영예에 광택을 더 하고 있는 것일까.이같은 물음을 던지기 전에 우선 한국인 과학자들이 어느 나라에 얼마만큼 퍼져 있는지부터 짚어보기로 하자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