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11
- 해보자. 생산이 일부 금지된 백열전구는 에너지 효율이 2%정도로 아주 낮다. 소비전력 100W인 백열전구가 빛으로 바꾸는 에너지가 불과 2W에 불과하다는 뜻이다(나머지는 열로 소실된다. 이외수의 소설 ‘들개’에는 백열전구를 난방장치로 쓰는 장면이 나온다). 백열전구에서 1초당 나오는 빛알의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11
-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이라는 합성수지를 이용해 칩을 만들었다. 두께가 10㎛(1㎛·100만 분의 1m)인 PDMS 박막 양면 중 한 쪽에는 폐 세포를, 다른 한쪽에는 모세혈관세포를 배양했다(자세한 작동 원리는 144쪽 참조). 렁 온어 칩은 간단했지만 폐의 핵심원리를 잘 구현하고 있었다. 전누리 서울대 ... ...
- 스마트폰 화면이 피부 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511
- 디스플레이를 개발했거든요. 이 디스플레이는 두께가 약 2.6㎛(마이크로미터, 1㎛는 1m의 100만분의 1) 정도로, 머리카락 두께의 약 40분의 1밖에 안 돼요. 게다가 유연성이 좋아 마음대로 구부리거나 늘릴 수도 있답니다. 또 해상도가 최신 스마트폰의 4~7배, 고해상도 텔레비전의 42배나 되지요.연구팀은 ... ...
- 프랑스 보석 관리인 ‘ 다이아 몽땅’어린이과학동아 l201511
- 썰렁홈즈. 두둑한 보상을 기대하며 다이아 몽땅과 마주 앉았는데….“자, 여기 수고비 100만 원입니다. 그런데 마지막에 반지를 잘라서 훼손했기 때문에 그 수리비가 500만 원 나왔어요. 즉, 400만 원을 내셔야 해요. 돈이 없으면 몸으로 갚으셔도 됩니다.”“뭐…, 뭐라구요?!”썰렁홈즈는 배상해 주는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11
- 1000번 까지 잘라서 본다. 만약 여기서 어떤 n의 배수번째 부분합과 0 사이의 차이가 100만보다 큰 경우를 찾았다면 가정에 모순이 돼 문제가 해결된다. 만약 찾을 수 없다면, 수열을 더 길게 자르고 1부터 1000번까지 부분의 엔트로피보다 1000번 이후 부분의 엔트로피가 어떤값 이상 차이나게 작다는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11
- 가축개량평가과 박사는 재미있는 기록을 소개했다. 이슬람교 창시자 마호메트는 100필의 말을 가두고 물을 주지 않다가 3일 뒤 풀어줬다. 냇가로 달려가는 말들에게 멈추라는 나팔을 불자 단 4마리의 말만 멈췄다. 이 말을 서로 교배했는데, 이들 4마리가 현재 아라비아 말의 시조라는 내용이다. ... ...
- [좋은 맛 똑똑한 맛 ➐ 식품첨가물] 첨가물, 안심하고 먹어도 되나요?과학동아 l201511
- 먹인 쥐가 암에 걸리고, 정신질환도 생긴다는 뉴스를 보기도 했다. 하지만 백 교수는 “100% 안전하거나 해로운 물질은 없다”며 “모든 물질은 양에 따라 해로울 수도, 이로울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식품첨가물엔 대개 일일섭취허용량(ADI)이 있는데 이만한 양을 매일같이 평생 먹어도 위험하지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서울공대카페 34 에너지자원공학과]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과학동아 l201511
- 못했던 자원들을 기술이 발달한 지금은 사용할 수 있게 된 겁니다. 지금은 앞으로 100년까지도 보고 있어요. 탐사나 개발, 자원 처리 기술이 발전하면 더 늘어날 수도 있겠죠. 물론, 그래도 유한한 자원이니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연구도 끊임없이 이뤄져야 해요. 환경 문제도 심각하니까요.정용권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11
- : 아주 높은 온도에서 음전하를 가진 전자와 양전하를 띤 이온으로 분리된 기체 상태.100만 분의 1 오차도 잡아낸다!지난 4월 28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는 우리나라에 있는 국가질량원기의 질량이 달라졌다고 발표했어요. 국가질량원기란 1kg의 기준이 되는 물체를 말해요.원기에 변화가 생긴 ...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11
- 발생해 23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죽었고요.중국 북동쪽에 있는 랴오닝 성에는 인구가 100만 명 정도 되는 도시 ‘하이청’이 있어요. 작은 도시지만 이 곳은 지진을 이야기하는 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곳이에요. 1975년 강력한 지진이 일어났지만 미리 예측해 피해를 크게 줄였거든요.하이청에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