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백제의 흔적을 찾아 나선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10
- 금당 앞 공간을 1/12 만큼 넓게 차지한 것과 비교해, 정림사는 석탑이 금당 앞공간을 1/100 만큼만 차지합니다. 다른 사찰보다 공간의 여유가 더 있지요. 그리고 금당 앞 공간을 대각선으로 연결했을 때, 중앙에 석탑을 둬 넓은 공간에서도 석탑에 사람의 시선이 머물도록 했습니다.석탑의 시조, ...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10
- 난이도를 설정해야 합니다. 세 단계 정도로 간략하게 만들 수도 있지만, 퍼즐 게임은 100단계가 넘어가는 레벨을 만들기도 하지요. 이렇게 게임을 만드는 과정에는 많은 요소가 필요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을 이용해서 만들어야 누구나 즐길 수 있겠죠?어떤 게임을 만들까?한 팀이 만든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10
- 곤충상은 상당히 변했다. 멸종된 곤충도 많고 분포도도 달라졌다. 파브르 곤충기는 지난 100여 년 동안 수많은 곤충학자에 의해 새롭게 밝혀진 곤충이야기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나온 몇몇 책은 일부 내용을 수정보완해서 기록했지만 현재의 곤충상을 모두 담아내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 ...
- [과학뉴스] 3만 년 전 바이러스, “기상~!”과학동아 l201510
- PNAS)’ 9월 8일자에 발표했다.이번에 발견된 바이러스는 크기가 0.6μm(1μm는 100만 분의 1m)로 바이러스치고는 매우 큰 편이다. 연구팀은 새롭게 발견된 바이러스의 이름을 ‘시베리아에서 온 부드러운 바이러스’라는 뜻에서 ‘몰리바이러스 시베리쿰(Mollivirus sibericum, 사진)’이라고 지었다.인류가 ...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과학동아 l201510
- 200개 이하로 예측했다.“NASA의 달 정찰 궤도탐사선(LRO)의 경우, 달 관측 데이터를 초당 100Mb 속도로 지구로 전송합니다.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는 38만km, 화성까지는 7800만km니까, LRO의 통신기술을 그대로 적용한다고 했을 때 중계위성이 200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건 단순계산이고, 실제론 운용 ... ...
- [knowledge] 산신령이라 불렸던 사나이과학동아 l201510
- LG의 승부수, X존한국에서 가장 악명 높은 구장은 잠실야구장이다. 잠실은 좌우 펜스 100m, 좌우중앙 펜스 120m, 중앙 펜스 125m로 전 세계 프로구장 중에서 손꼽히게 크다. 구장이 너무 크다 보니 원래라면 펜스를 넘어갈 홈런성 타구가 펜스 앞에서 잡히는 경우가 많다. 장타력이 떨어지는 팀은 점수를 ... ...
- [지식] 헤이그 특사 이상설수학동아 l201510
- 한국학 중앙연구소에서 여러 책 사이에 끼어 보관된 원본을 찾게 되었다. 이로서 100년여 동안 전설로만 내려오던 의 존재가 세상에 드러나게 된 것이다.우리나라 근대 수학의 선구자이상설이 쓴 는 총 130여 쪽으로 이뤄져 있다. 대부분 한자로 쓰여 있지만 비례, 방정, 기하원본 등 ...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수학동아 l201510
- 번호를 매긴 부호 체계다. 예를 들어 ‘Good’을 아스키 코드로 나타내면 ‘71, 111, 111, 100’이다.와트니는 아스키 코드를 16진법으로 나타내 지구와 교신하기로 했다. 16진법은 가장 오른쪽 자리의 자릿값이 160이고 왼쪽으로 갈수록 자릿값이 16배가 되는 숫자 표기법이다. 예컨대 100(6×161+4×160)을 1 ...
- INTRO. 21세기 파브르 곤충기과학동아 l201510
- 재해석해 다시 곱씹어봐야 할 부분이 가득하다(2파트). 파브르가 떠난 지 올해로 100년. 그의 발자취를 따라 걷는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파브르를 우리 곁으로 다시 불러내보자(3파트).출생과 함께 찾아온 가난파브르는 1823년 프랑스 남부의 산악 지대에 있는 작은 마을 ‘생 레옹 뒤 레브주’에서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10
- 답이 나왔다. 건혁 학생이 속한 ‘생물자원연구회’는 그와 비슷한 아마추어 연구가 100여 명이 모여 있는 온라인 카페다. 고등학생 신분이라 자유롭게 움직이진 못하지만, 종종 함께 곤충채집을 다니고 정보를 교류한다. 2013년 초엔 운영진들끼리 장이권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의 매미연구를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