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사과는 왜 사과 모양으로 생겼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방금까지 사과의 생김새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어. 10월 4일 미국 하버드대학교 존폴슨 공학 및 응용과학대학의 락쉬미나라야난 마하데반 교수팀이 사과의 모양을 연구하고 그 이유를 발표했어. 마하데반 교수는 이전에 사과의 모양과 성장을 설명하는 간단한 이론을 제시했는데, 실제 사과를 성장 ... ...
- [기획] 우리나라 장내 미생물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모으고 있는 거람! 한국인 장내 미생물을 지도로 만든다면?!8월 27일,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이인석 교수팀은 한국, 일본, 인도인 845명의 똥에서 분리한 DNA로 장내 미생물 유전체 지도를 만들었다고 발표했어요. 장내 미생물 유전체 지도란 인간의 장에서 생태계를 이루는 미생물 군집의 유전체 ... ...
- [기획] 내 안에 네가 살고 있어 장내미생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여긴 어디, 난 누구?!알았다! 이곳은 내 장속이야.그런데 이 수많은 미생물은 도대체 누구야?내 안에서 뭘 하고 있는 거야?!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기획] 내 안에 네가 살고 있어 장내미생물Part1. [기획] 우리나라 장내 미생물이 온다!Part2. [기획] 우리 몸이 해킹당했다?! ...
- [기획] 우리 몸이 해킹당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 Q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소장과 생명공학과 실험실을 맡고 있는 최인걸 교수입니다. 고려대학교 학부생의 바이오해킹 동아리 ‘KUAS’도 지도하고 있죠. KUAS는 매년 미국에서 열리는 국제 바이오해킹 대회인 아이젬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십 리도 못 가서 쥐가 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통합과학 넓히기 다치지 않도록 도와주는 인공 근육?! 8월 26일,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조규진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사람이 올바른 자세로 물건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엑소슈트’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엑소슈트는 옷처럼 입어서 사람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웨어러블 ... ...
- [이달의 과학사] 통조림을 쉽게 여는 특허 나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지금이야 냉장고에 넣으면 되지만, 200년 전만 해도 음식 보관은 힘든 일이었습니다. 음식 보관은 특히 먼 곳으로 원정을 떠나는 군인들에게 중 ... 통조림 따개가 나왔어요. 현재 우리가 쓰는 당기면 뜯어지는 원터치 통조림은 미국 공학자인 에멀 프레이즈가 1959년이 되어서야 발명했답니다. ... ...
- [만화 뉴스] 태양만 있으면 바닷물도 식수가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월 22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장지현 교수팀은 태양열로 바닷물을 증류해 먹는 물로 바꿀 수 있는 장치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장치에 바닷물을 넣으면 태양열에 의해 증기 상태의 순수한 물이 분리되고, 소금 등 염분은 장치에 그대로 남지요. 이후 증기를 다시 응결시키면 ... ...
- [4컷 만화] 카멜레온 같은 인공피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월 10일,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팀은 주변 사물의 색에 따라 몸 색깔을 바꾸는 카멜레온 같은 인공피부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주변 환경에 따라 색을 바꾸는 신소재는 예전부터 연구되고 있었으나, 기존 신소재는 여러 색으로 바뀌더라도 주변 색에 자연스럽게 어울리지 못한다는 ... ...
- [4컷 만화] 지진으로 화성 내부 구조를 알아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쾰른대학교, 스위스 취리히연방공학대학교 공동연구팀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선 ‘인사이트’가 보낸 화성 지진파 기록을 분석해 화성의 내부 구조를 최초로 밝혀냈어요.인사이트에는 지진파를 측정할 수 있는 돔 모양의 지진계가 실려있어요. 지진파는 화성 내부와 표면을 따라 ... ...
- [이달의 과학사] 1947년 9월 9일 그레이스 호퍼, 최초로 컴퓨터 버그를 잡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사례’라고 썼어요. 처음으로 컴퓨터 버그를 잡은 순간이었죠. 토머스 에디슨 시절부터 공학자들은 기계의 오작동을 버그라고 불러왔어요. 하지만 컴퓨터과학 분야에서 프로그램의 오류를 버그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은 그레이스 호퍼가 마크 II에서 나방(버그)을 잡은 이후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