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기, 이제는 ‘제조’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질기면서도 부드러운 식감을 재현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씨위드는 식품과학과 재료공학을 전공한 연구원들로 구성된 관능팀을 따로 두고 있다. 실제 고기를 따라잡기 위해 배양육의 탄성을 측정하고 최적의 첨가물을 찾고 있다. 식품으로 인증받기 위해선 새로운 허가 절차 필요 씨위드는 내년 ... ...
- [과학공학 콘텐츠 제작소] 당신에게 고향의 추억을 바칩니다...윤인순 할머니의 오르골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할머니네 같이 놀러 갈 메이커?”한가로운 시간을 보내던 서울 성수동 긱블 메이커스페이스. 갈퀴 님이 갑자기 할머니 댁에 가자며 숨숨 님과 찬스 님을 납치(?)했습니다. 그 길로 달려간 경기도 파주 통일로 옆 마을에선 머리가 하얗게 센 할머니 한 분이 기다리고 계셨습니다. 윤인순 할머니의 ... ...
- [기획] 키메라 연구, 장기이식의 희망이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이식할 심장을 기다리거나 회복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줄 수 있다. 오가노이드한국생명공학연구원 손미영 박사팀은 2020년에 몸 밖에서 배아줄기세포로 장 오가노이드●를 만들었다. 세포나 조직 단위의 치료나 동물 실험을 대신할 수 있는 대안으로 기대하고 있다.●오가노이드: 세포를 배양해서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3화. 수학과 졸업하면 뭐할까?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배웠던 수학 개념들이 도움이 많이 됐어요. 저는 앞으로 제 수학 역량을 총동원해서 공학계에서 지금까지 도입해 본 적 없는 새로운 방식으로 AI 모형 개발에 성공하고 싶어요. 수학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지만, 멀리서 보면 희극인 것 같아요! 가까이서도 멀리서도 수학을 잘 활용하는 사람이 될 ... ...
- 3750m 질주의 과학 활주로과학동아 l2021년 11호
- 6월 17일 동이 트지 않은 까만 새벽, 영종도. 인천국제공항공사 에어사이드토목팀은 인천국제공항 한 편에서 활주로만 주시했다. 첫 비행기가 착륙하는 순간을 보기 위해서였다. 비행기가 활주로에 닿자마자 마치 약속한 것처럼 다같이 환호성을 질렀다. 인천국제공항에서 13년 만에 새로운 활주로 ... ...
- [논문탐독] 소수의 자율주행차로 유령정체 해소한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 속도(유속), 밀도로 차량의 흐름을 이해하는 개념 ※필자소개.김의진.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통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 중이다. 딥러닝을 활용한 통행 정보의 생성 및 융합 연구를 하고 있다. kyjcwal@snu.ac ... ...
- [과학뉴스] 리튬보다 효율 높인 마그네슘 배터리 전해질 개발과학동아 l2021년 11호
- 412Wh로 상용화된 리튬이온배터리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왕천쉥 미국 메릴랜드대 화학공학과 교수는 “마그네슘이온배터리가 리튬이온배터리와 유사한 에너지 밀도에 도달한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 ...
- 벌레잡이풀·벌집에게 배운다, 바이러스 잡는 ‘표면 공학’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제시했다. 국내에서도 이런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조영태, 김석 창원대 기계공학부 교수팀이 그 주인공이다. 연구팀은 물체 표면에 묻은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포집해 다시 묻어나지 않고, 궁극적으로는 포집한 바이러스를 사멸시킬 수 있는 표면 구조를 연구하고 있다.올해 8월 연구팀은 얇은 ... ...
- 미 국방부 보고서 행간 읽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편집자 주. 지난 6월 미국 국방부는 UFO 조사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설명이 어려운 일부 미확인 공중 현상(UAP)을 언급하며 착각이나 센서 에러로 결론을 내렸다. UFO 연구자들은 이들이 UFO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국내 대표적 UFO 연구자의 의견을 소개한다.미국의 유명 천문학자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과학으로 어루만지는 마음의 병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약물을 개발하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뇌공학자들과 공동연구도 하고 있다. 뇌공학은 뇌 활성도를 실시간 분석하도록 돕는 등 뇌 연구의 핵심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마이크로 로봇을 이용한 약물전달 기술이나 신경전달물질을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기술은 정신 질환을 개선하거나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