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원"(으)로 총 5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계의 신비 얼마나 벗겼나 12년의 대장정 보이저 드라마과학동아 l1989년 10호
- 무엇을 지구에 알려왔나.해왕성 탐사를 끝으로 12년의 '보이저 드라마'는 일단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지난 77년 우주여행을 시작한 보이저2호는 그동안 목성(79년) 토성(81년) 천왕성(86년) 해왕성(89년) 탐사를 훌륭히 수행해내고 이제 서서히 태양계 밖으로 벗어나고 있다(그림1). 혹시 있을지도 모를 ... ...
- TV과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과학동아 l1989년 06호
- 기준, 전 영역을 10개의 쟝르로 나눈다. 다시 각 쟝르 속에 국어 교과서 1 2 3학년 모든 단원을 배분하였고, 여기에 교과서외 문장을 추가 배정하였다. 이같은 배분은 학력고사 문제의 쟝르별 출제에 근거한 것이다. 아울러 점차 교과서 외(外) 문제의 출제비중이 높아지는 것에 대비한 편성이다.또한 ... ...
- 주부 대상 정보문화 강연회과학동아 l1989년 03호
- 여력이 늘어나게 된다. 특히 올해부터 중학교 교과과정에 컴퓨터교과과목이 독립단원으로 채택되는 등 자녀들의 컴퓨터 교육에도 주부들의 적극적인 관심이 요청되고 있다.이러한 시점에서 이번 강연회는 주부들에게 정보화로 인한 사회변혁에의 인식과 안목을 넓혀주는데 어느 정도의 계기를 ... ...
- 필요는 크게 느끼나 접촉 경험 아주 적어과학동아 l1989년 02호
- 적극 투자하고 있다.우리도 올해부터는 초중고의 교과과정에 컴퓨터 과목 내지 단원이 확대 설치되며 컴퓨터실습교육이 강화될 예정이고, 정보문화홍보관 등 일반인들이 직접 컴퓨터를 다루어 볼 수 있는 상설전시장이 각 지역별로 조금씩 생겨나고 있어 컴퓨터문맹률은 서서히 낮아질 전망이다 ... ...
- 5개 대학 수석합격자과학동아 l1989년 02호
- 화학 생물을 선택했어요. 고1,2 때 저는 화학을 잘 이해하지 못했지요. 그래서 고3때 가서 단원별로 한꺼번에 모아 체계를 잡아 나갔지요. 날짜를 잡아서 하루내내 화학만 파는 거죠. 생물은 암기니까 그냥 선생님이 해주시는 것 중심으로 했어요.●―생물은 그림을 유심히 봐야사―그런데 요즘 ... ...
- 개별학습이 가능한 컴퓨터 가정교사과학동아 l1989년 02호
- 학년은 8, 2학년은 6, 3학년은 8개의 패키지로 구성되어 있다. 대개 1개의 패키지가 1개의 대단원이 된다.그러므로 총 패키지 수는 22개이며 총 디스켓 수는 52장(마스터디스켓 22장)이다. 제품의 구입단위는 패키지이나 학년단위로 구입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이 코스웨어 디스켓을 사용할 수 있는 ... ...
- 정보통신산업의 꽃, 데이타베이스 국내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과학동아 l1989년 01호
- 컴퓨터를 이용한 보조학습시스팀(CBE: Computer Based Education)이다. 중학교 1 2 3학년 수학22개 단원의 코스웨어를 개발하여 선을 보였다. 향후 교과별, 학습방법별 모델 코스웨어와 코스웨어저작도구(Authering Tool)의 한국형 모델을 개발 보급할 예정이다.이제부터 시작이상으로 '인포 서울 88'을 통해 ... ...
- 내년부터 학교수업에 컴퓨터 활용과학동아 l1988년 12호
- 뛰어나다" 라고 한다.그리고 마지막으로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는 단원이 너무 적어서 아직은 전시효과에 그칠 뿐이라는 것이다.90년에는 정보산업 교과 설치 CAI프로그램의 실시와 함께 90년부터는 교과내용 중에 컴퓨터 관련항목이 강화된다. 국민학교에서는 실과교과에, 중학교에서는 ... ...
- 한 해 선배가 들려주는 대입 최종 마무리 대책과학동아 l1988년 10호
- 천천히 읽으면서 연상을 많이 했어요. 문제는 여러 단원이 연관돼 나오므로 단원을 연결시켜 가는 시도를 했읍니다. 문제집도 몇 권 풀어 보았어요. 문제를 다루다보면 출제 유형에 저절로 익숙하게 됩니다.정―교과서 위주로 하는 과목과 문제집 위주로 하는 과목으로 나누었지요. 국어와 ... ...
- 아쉬운것 ·잃는것·그늘진것과학동아 l1988년 08호
- 후, 이미 출제되었던 문제들의 유형에 익숙하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탄소 화합물에 관한 단원은 외울 것이 무척 많긴 했지만, 그 때 철저히 공부해둔 탓에 지금 유기 화학이나 생화학을 배우는데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 화학은 물리와 마찬가지로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 ...
이전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