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원
사원
멤버
구성원
부원
신전
단위
d라이브러리
"
단원
"(으)로 총 53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쉽게 해설한 참고서를 골라야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자기가 필요한 부분을 찾아 충분히 읽은 후에 예제 및 연습 문제까지 풀어보면 일단 한
단원
의 학습은 완성되는 것이다. 다음은 지구과학이라는 과목을 어떻게 공부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가를 얘기해보자. 흔히 과학은 어렵다고 얘기한다. 물론 어렵다. 그러나 어느 과목치고 쉬운 것이 ... ...
화학 문제풀이를 통해 완벽한 이해를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핵심정리 - 5종의 교과서를 완전히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각
단원
을 소
단원
으로 나누어 핵심사항만을 정리하였다. 문제를 풀어보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사항만을 정리한 것이므로 완전히 파악하도록 한다. 문제 - 참고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문제는 대체로 ... ...
생물 학습목표를 확실히 알고 시작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통해서 어떤 문제라도 막히지 않게 풀 수 있는 자신감이 생긴다. 어느 참고서이든지 각
단원
이나 장의 끝에는 그동안에 배운 내용을 평가할 수 있는 문제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풀어보아야 한다. 어떤 내용을 문제화하는 데는 여러가지 각도에서 평가할 수가 ... ...
물리 힌트나 연구를 이용해 응용력을 길러야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두어야 하므로 카드화하거나 노트에 특별히 기재하여 꼭 외도록 한다. 핵심 정리 - 각 소
단원
끝에는, 앞에서 배운 것을 총정리하여 교과서의 요점을 확인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단순히 하나하나의 원리나 사항의 나열뿐만 아니라 전체의 상호관련을 한눈으로 알 수 있도록 연구되어 있으며, 물리의 ... ...
생물 암기에 앞서 체계적 이해를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혈액이나 배설에 의한 내부 환경의 조절은 '조절과 항상성'
단원
과 연관이 되며 영양소를 공부하였으면 이는 '원형질의 구성 물질'과 연관이 된다. 또 혈액에 의한 O₂와 CO₂의 운반 기구는 호흡에서 다루어진다. 이러한 내용들을 단편적으로 알고 연관시키지 못한다면 ... ...
수석 합격자의 말 교과서보다 부교재를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처음엔 물리가 너무 난해하고 딱딱해 포기하려했지요. 그런데 어느날 '파동과 간섭'
단원
을 새벽3시까지 붙들고 곰곰 생각해 보니까 원리가 이해되고 재미가 붙게 되었어요."과학공부는 신비를 밝히는 지적 만족감을 느끼는 것이 요령이라고 강조하는 이군은 등산을 그것에 비유했다."산에는 왜 ... ...
지구과학
단원
마다 주제에 대한 의문을 갖고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조금만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만 기르면 되는 것이다.따라서 각
단원
별로 다음과 같은 의문점만 갖고 그에 대한 해답을 찾는다면 아주 쉽게 지구 과학을 공부 할수 있을 것이다.□ 행성으로서의 지구·지구의 모양은 공처럼 둥글다고 하는데 우리는 어떻게 그것을 알 수 있을까? 또 ... ...
쉽고 재미있게 과학공부를 잘하려면…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있었다.3학년에서 '지구와 우주'
단원
은 평소에 꾸준히 천체 관측을 했다면 아주 쉬운
단원
이 된다. 그러한 관측 결과를 멋있게 설명할 수 있음을 아는 기쁨은 비길 데가 없다. 달을 정해진 시간에 그 모양과 위치를 한 달 동안 관측하고 그렇게 변하는 현상이 달의 운동으로 설명됨을 알았을 때 ... ...
'86세계와 한국의 과학계 희망과 좌절이 엇갈린 한 해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일본, 서유럽국가들과 소련이 참여한 핼리 혜성의 관측사업은 3월 10일을 전후하여 대
단원
의 막을 올렸다. 이 관측 사업의 과학적인 결과는 지구생성과 생명체 탄생의 수수께끼를 푸는 실마리를 제공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핼리 혜성 관측사업은 또 과학을 통한 국제협력의 좋은 ... ...
문화재의과학 발굴·복원·연대측정의 방법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오히려 고고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원시적인 손(수)작업이 필요하다. 그래서 보통 발굴
단원
들은 작은 꽃삽으로 조심스럽게 파들어가다가 유물같은 것이 나오면 붓으로 흙을 털어내는 정도다. 그러나 일단 유물이 발견된 이후부터는 철저히 과학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특히 지하에 매몰되어 습한 ... ...
이전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