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면역"(으)로 총 1,455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발병한 지 수 년이 지나 확진을 받을 때면 세포체가 모두 죽었을 가능성이 높아 더 이상 면역치료는 불가능하다. 현대 의학으로 기면증을 완치하는 방법은 줄기세포 외에 없지만, 그래도 약물을 이용하면 정상적인 생활은 가능하다. 현재 기면증 치료제로 이용하는 ‘모다피닐’은 도파민 세로토닌 ... ...
- 포경수술 좋다 vs 나쁘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반박한다. 포피 안쪽에 정상적으로 살고 있는 세균과 전립선, 요도 및 정낭에서 나오는 면역 단백질(글로불린)이 감염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포경수술을 해서 포피가 없어지면 발기할 때 성기의 피부가 당겨지고 마찰이 증가한다. 그러면 관계 도중 찰과상이 늘어나 병원균 침투가 ...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무엇보다 중요하다. 신경세포의 신호전달, 호르몬과 성장인자에 의한 생리현상, 면역세포의 인체방어기전 등은 모두 세포에서 분비된 물질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이다.재미있게도 주름을 없애준다며 미용 치료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보톡스도 이런 과정을 이용한다. 보톡스는 혐기성 세균이 분비하는 ... ...
- 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산 반면,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를 들은 쥐들은 3주를 살았다. 연구팀은 오페라가 면역계를 강화시켜 염증반응을 억제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술을 마시면 나르시즘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밝혀낸 프랑스 그레노블대 로렌트 베규 연구팀은 심리학상을 받았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 ...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등 항균제 및 항생제가 발견돼 수술 후 감염의 위험도 크게 줄었다. 마지막으로 인체의 면역기능이 밝혀지면서 다른 사람의 조직이나 장기를 이식받을 수 있게 됐다. 이 결과 외과의사의 손은 환자의 뱃속은 물론 이전에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심장과 폐 등의 흉강, 그리고 대뇌가 들어 있는 ... ...
- ‘숙면이 보약’, 잠잘 때 뇌 속 독성물질 ‘대청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없었다. 생리학자들의 공통된 의견은 잠을 자는 동안 뇌가 기억을 정리하거나 우리 몸의 면역 활동이 정비되는 등, 깨어 있을 때와는 다른 현상이 일어난다는 것 정도였다.그런데 최근 잠을 자는 핵심 목적이 독성이 있는 대사 부산물을 청소하기 위한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화제다. 미국 ... ...
- 식물도 쓰다듬으면 잘 자란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좀 더 통과하기 쉽게 변해 내부에서 각종 분자가 배출됐다. 연구팀은 이런 분자가 면역 반응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와 비슷한 반응은 식물이 상처를 입었을 때도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학술지 ‘BMC 식물학’ 9월 13일자에 실렸다 ... ...
- 스무살 GIST, 칼텍과 손잡고 노벨상 꿈꾼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연구를 돕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한 예로 마즈마니안 교수가 연구 중인 박테리아는 면역력을 완화시키는 특정한 물질을 만들어내는데 임 교수는 이 물질이 체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기작을 밝히는 것을 돕고 있다. 두 교수는 “이번 공동 연구 성과를 저명 학술지에 발표하는 것이 1차 ... ...
- 풀 뜯는 호랑이? 담배 문 참새?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진은 ‘송진’이랍니다. 레진은 강한 살균 작용을 하지요.저희 꿀벌들은 선천적으로 면역 관련 유전자가 부족해 병에 걸리기 쉬워요. 또 철저히 역할을 나눠 공동생활을 하기 때문에병이 빨리 퍼지기도 하지요. 얼마 전에 우리나라 꿀벌들이 떼죽음을 당하기도 했잖아요. 그런데 미국 에모리대학교 ...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죽을 수밖에 없다. 김 교수는 “정말 극적으로 출혈이 멎어 생존한다고 해도 염증반응과 면역기능의 활성화, 스트레스로 더 많은 에너지를 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결국 윤리 문제를 배제한다면 팔이나 다리를 자르는 것보다는 누군가를 잡아먹는 것이 전체의 생존에는 훨씬 유리하다는 결론을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