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델"(으)로 총 2,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를 ‘유동장 가시화’ 기법이라고 한다. 우리는 이를 토대로 층이 분리된 라떼의 수학 모델을 구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생성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7년 12월 12일자에 실렸다.doi:10.1038/s41467-017-01852-2 레이어드 라테의 생성 원리는 ‘이중 확산 ... ...
- [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위해 매번 풍동실험을 할 수 없는 만큼 최적의 자세를 찾을 수 있도록 컴퓨터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한 것이다.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풍동실험 결과가 일치하면 시뮬레이션만으로도 최적의 자세를 찾을 수 있다. 인공 바람 속에서 찾은 최적의 양항비대형 풍동실험 시설은 스키점프 대표팀의 ... ...
- 논리적 사고력, 어떻게 키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것이다. 세부적 형식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지만 논리적 사고에서 가장 간단한 모델은 이처럼 연결고리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스마트폰, DNA, 공전궤도의 공통 개념2018학년도 POSTECH 창의IT인재전형에서는 ‘구글글래스의 산업적 활용과 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라는 문제가 출제됐다. 일반전형의 ...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한국로봇융합연구원이 개발한 ‘스키로(SKIRO)’는 키 80cm에 몸무게 15kg로 3~4세 어린이를 모델로 삼았다. 로봇이 무거울수록 활강 속도가 빨라지지만 그만큼 방향을 바꾸기 어렵기 때문에 고민 끝에 로봇을 작고 가볍게 만드는 쪽을 택했다. 처음에는 사람처럼 발을 11자 형태로 만들어서 스키를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과정에 꼭 필요한 기작이라는 생각이 들죠? 과학자들은 직접 실험을 해봤습니다. 여러 모델 생물에서 세포 자멸에 필요한 유전자를 제거한 뒤 어떻게 발달하는지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놀랍게도 쥐의 배아는 유전자를 없앤 뒤에도 온전히 발달해 성체로 자랐습니다. 대체 어떻게 된 영문일까요 ... ...
- Part 3. 역사의 흐름을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알아낼 수 있는 수학 모델을 만들었어요. 2020년, 혼란의 시대가 온다?터친 교수는 이 모델을 이용해 2020년이 되면 미국의 사회적 혼란이 극에 달한다고 예측했어요. 터친 교수는 부의 불평등, 불경기, 정치적 갈등 등 1970년대에 사회 불안을 일으킨 요소 40개를 분석한 뒤 정치적인 혼란은 엘리트 ... ...
- 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신경망에 따라 움직이는 로봇이었지요. 예쁜꼬마선충은 인기 있는 실험 동물 모델이에요. 몸 크기 1mm 정도에 몸 전체를 이루는 세포 수도 959개 정도랍니다. 그 중에서 신경 세포는 302개뿐이지요. 세포 수가 적은 탓에 이미 1986년, 신경 세포간의 연결 상태를 지도처럼 나타낸 ‘커넥톰’이 모두 ... ...
- [Issue] 어서와, 경제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조사 기관 IHS마켓이다. IHS마켓은 애플 아이폰X의 부품 원가를 산출해 64기가바이트(GB) 모델의 제조 원가가 370.25달러(약 40만2000원)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아이폰X의 글로벌 출고 가격인 999달러(약 108만7000원)를 기준으로 했을 때, 제품의 원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37%에 불과한 셈이다. 이 ... ...
- Part 3. 폭염, 막을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같은 작은 규모의 자료들까지 수집할 예정이지요.이를 통해 훨씬 정확한 기후 예측 모델을 만들 거예요. 또 이 자료들을 처리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도입할 예정이지요. UNIST 도시환경공학부 이명인 교수는 “폭염 예보가 하루 빨라질 경우 피해자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며, “폭염 예보를 3일,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운명을 결정짓는 이 관계를 ‘반응 확산 모델(reaction diffusion model)’이라고 부릅니다. 이 모델은 생물학자가 아닌, 영국의 수학자이자 암호해독학자였던 앨런 튜링이 처음 제안했습니다.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에서 베네딕트 컴버배치가 열연했던 인물이죠. 정리하면, 시계방향으로 도는 섬모에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