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d라이브러리
"
미생물
"(으)로 총 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호바다엔 뜨거운 남자들이 산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센터가 잘 된다”고 웃었다. 박 센터장과 자주 이야기를 나눈 임지빈(고2) 군은 “해양
미생물
학자가 꿈이었는데 정말 소중한 경험을 했다. 대학 졸업하고 다시 올 테니 꼭 자리 만들어 달라”며 포부를 밝혔다.조금만 밖에 나가도 몸이 축축 처지는 뜨거운 햇살 아래에서 연구원들은 하나라도 더 열대 ... ...
우리는 외계에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날아와 지구에 떨어졌을 때 일부가 살아남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만약
미생물
이 얼음이나 바위 깊숙한 곳에 자리 잡고 있다면 방사선에 의한 영향도 받지 않을 수 있다.그렇다면 대기권 진입 시에 생기는 마찰열에도 견딜 수 있을까. 연구팀은 마찰열로 인해 바위 표면은 녹겠지만, 깊숙한 ... ...
‘뱃속의 거지’ 알고 보니 장내
미생물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먹어도 먹어도 배가 고픈 젊은 학생들에게 어른들이 꼭 하는 말이 있다. “뱃속에 거지가 들어가 있니?” 그런데 이 말이 맞았다. 바로 장 ... 조사해 8월 29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 결과, 저칼로리 식이요법은 평소 장내
미생물
이 다양하지 않았던 집단에서 치료 효과가 특히 뛰어났다 ... ...
남극 해저의 난파선이 썩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냉대지역에서 처음으로 오세닥스 2종이 발견됐다.그런데 나무토막에서는 이 종은 물론
미생물
에 의한 분해 흔적도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온대지방 해저에 가라앉은 나무토막이 반 년 만에 크게 분해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연구팀은 “인근지역 해저를 수중 촬영한 결과 나무토막 유입이 전혀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산소 호흡량에 대한 예측이 틀렸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실험기간 도중
미생물
수가 급격히 늘어났거나, 부패 작용이 활발해졌다는 뜻이다.설국열차 내 승객을 포함해 지구에 살아남은 동물이 얼마 되지 않았다고 해도 장기적으로 본다면 산소 문제를 완전히 간과하는 것은 현명한 일이 ... ...
낮은 온도에서도 제 역할 다하는 저온효소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시료를 채집했지요. 그 결과 6500여 종의 저온적응성
미생물
에서 저온효소를 만드는 874개
미생물
을 찾아냈어요. 최근에는 이 자료를 기반으로 원하는 성질을 갖는 효소를 찾는 ‘스크리닝’ 과정을 진행하고 있어요. 연구 성과는 벌써 나타나고 있답니다. 세제에 넣으면 세탁 능력을 끌어올리는 ... ...
풀 뜯는 호랑이? 담배 문 참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에모리대학교 자코버스 드 루드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레진을 벌집에 발라 두면
미생물
이 침입하지 못 한답니다. 황제나비나 불나방 애벌레도 저희처럼 살균 작용이 있는 식물을 이용하지요.동물도 참 다양한 방법으로 몸을 보호하는군요. 새로운사실을 알았습니다. 마지막으로 하시고 싶은 ... ...
마지막 한 방울 까지 소중히 해야 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9호
광물 성분들이 녹아 있고, 흙 알갱이도 그대로 섞여 있지요. 또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미생물
들이 가득 들어있어서 그대로 마시면 배탈이 나거나 심하면 죽을 수도 있답니다 K-water(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이런 물을 걸러내 여러분이 마실 수있는 수돗물로 바꾸고 있어요. 정수 과정을 한번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크레이그 벤터는 인공 DNA를 이용해 합성세포를 만들어 냈다고 발표했다.벤터는 먼저
미생물
에서 생산되는 화학물인 효소와, 곰팡이와 같은 균류 중 하나인 효모를 이용해 인공 DNA를 만들어 냈다. 이 인공 DNA를 박테리아에 넣어 합성세포를 탄생시킨 것이다.물론 벤터가 만든 것이 완벽한 ... ...
Bridge. 사람이 일으키는 대유행 전염병, 바이오테러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비협조적인 원주민을 제거할 목적으로 역시 천연두를 사용했다.20세기에 들어
미생물
학이 발달하면서 생물무기는 보다 체계적으로 국가 주도하에 개발되기 시작했다. 2차 대전 중 일본은 만주의 731부대에서 대규모 생물무기 개발 연구를 했다. 연구개발 과정 중 약 1만 명의 죄수가 희생당했고, 그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