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생물"(으)로 총 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충격! 화성에도 과학동아 독자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이 가능성을 인정하고 있는 화성의 고대 생명체는 미생물 수준입니다. 산소 농도가 낮아서 뼈를 화석으로 남길 정도로 큰 동물이 살기는 어려웠다고 합니다.NASA가 숨기고 있다?더 나아가 화성에 고대 문명이 있었다는 주장은 어떨까요? 화성의 인면암이나 ...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5200만 년 전)부터 여러 바이러스와 공생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진은 2006년 7월 미국 미생물학회지(ASM)에 발표한 논문에서 과일박쥐 몸에 살고 있는 바이러스 66가지를 분석한 결과, 과일박쥐 대부분이 이들 바이러스에 중화항체(항원이 가진 생물학적 활성을 차단하거나 중화시켜 병원균의 ...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과학동아 l2014년 09호
- 25일,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실린 한 논문으로 과학계가 발칵 뒤집혔다. 캐나다 국립미생물연구소 캐리 코빙거 박사팀이 “에볼라가 공기전염된 증거를 발견했다”고 선언한 것이다. 연구진은 에볼라에 감염된 돼지 옆에 원숭이를 두었는데, 둘 사이의 접촉이 전혀 없었는데도 원숭이에게 ... ...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미생물을 이용한 유용물질 생산을 전공했지만, 우주나 극지와 같은 극한환경에서 미생물이 어떻게 대응하며 살고 있는지 궁금해하고 있다. ▶ 한세종 박사(hansj@kopri.re.kr)| 극지 등 극한 환경의 생물을 연구하는 과학자다. 1999년 KAIST 생명화학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 ...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방사하면 교미한 암컷은 무정란을 산란하게 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모기의 공생미생물인 볼바키아(Wolbachia)를 이용한 방제연구도 활발하다.볼바키아는 모기뿐 아니라 다양한 곤충과 절지동물의 체내에서 공생하는 생물로 이들의 체내에 살면서 암수결정, 개체 발생, 수명 등 생리적 현상을 조절한다. ... ...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데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혜민 극지연 연구원도 “동토에서 온실가스를 만드는 미생물을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알래스카 프로젝트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극지기초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이다. 현재 극지연은 알래스카를 포함해 그린란드, 스발바르, ... ...
- 양치기 개는 갈매기도 잘 몰아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센트럴미시간대 엘리자베스 앨름 교수는 5월 17일부터 20일 동안 보스턴에서 열린 미국미생물학회 연례 학술대회에서 보더콜리 종이 바닷가 대장균 수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연구를 발표했다. 보더콜리는 양치기 개로 많이 쓰는 개로, 이 개가 바닷가에서 쫓은 것은 주로 갈매기였다.갈매기는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지구에서 보는 동물 이나 식물과 같은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 거의 없 다. 존재한다면 미생물일 가능성이 높다. 미국 항공우 주국(NASA)은 아직 시기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유로 파에 착륙선을 보내 구성 성분과 생명체의 존재여부를 조사할 계획이다.엔셀라두스 역시 2005년 얼음과 수증기 기둥이 ... ...
-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남아 있을지도 모른다. 실제로 지구의 꽁꽁 얼어 있는 동토층에는 지금도 수천 종의 미생물이 살고 있다. 그것이 바로 우리가 화성을 방문해 동토 코어를 채취하기로 결심한 계기다.화성 생명체도 DNA 갖고 있을 듯떨리는 손으로 코어를 옮겼다. 이 코어에서 생명체의 흔적을 찾으려면 특수 분석 ... ...
- “볼펜부터 휴대전화까지, 화학이 없는 곳이 있던가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백신 연구자가 꿈입니다. 화학생물공학부에서도 가능할까요?A 물론입니다. 백신은 미생물이나 생물로 배양해 만드는데, 실제로 우리 졸업생들이 녹십자 등에서 백신 연구를 주도하고 있어요. 신약도 가능합니다. 단백질 계통 신약과 화학물질 계통 신약으로 나뉘는데, 우리 학부에는 단백질, 미생물, ... ...
이전444546474849505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