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사랑은 얼음스케이트를 타고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교수가 스키가 달릴 때 스키와 눈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열을 계산한 결과, 수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물 층이 만들어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최근에는 얼음이나 눈은 온도가 아무리 낮아도 표면에 얼어붙지 않는 끈끈한 겔(gel) 층이 존재해 결국 미끄러질 수밖에 없다는 이론이 주목 ... ...
- 거미 다리 보고 만든 진동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번에 개발된 진동센서는 기존 것보다 감도가 최대 1000배 가량 높다고 해요.*nm : 나노미터. 100만 분의 1mm다.다재다능한 너희와 지구를 정복하고 싶구나!글쎄요, 닥터 그랜마. 나는 여러 재주가 있지만 수명이 평균 2년을 넘지 못해요. 게다가 마음이 약해서 지구 정복은 체질에 맞지 않아요. 우리 ... ...
- [창의] 1화 지하 이분의 일층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내려오렴!”삼촌은 불과 열 걸음 정도 아래서 외쳤지만, 소년에겐 마치 땅 속 수백 미터에서 들려오는 소리 같았다. 저 계단을 내려가면 다신 이 땅 위로 올라오지 못할 것처럼 두려웠다.“찬이야, 뭐하니? 얼른 내려와!”깊은 어둠 속 삼촌이 소리쳤다. 소년은 두 눈을 질끈 감았다. 희미하게 보였던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정보 처리 속도를 좌우하는 전자 회로, 광학 회로 연구에 쓰입니다. 50nm(나노미터) 이하의 가는 선으로 만들 수 있으면서 빛에 가까운 속도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거든요.국내에서는 이병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이끄는 액티브 플라즈모닉스 응용시스템연구단이 플라즈모닉스를 연구하는 ... ...
- 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만든다. 하지만 아무리 방수가 잘 되는 옷이라도 이음새가 부실하면 그 틈으로 나노미터 크기의 바이러스가 침투할 수 있다.보호복의 모든 솔기를 양면테이프를 이용해 단단히 고정하고 그것도 모자라 손목 소매 부분은 테이프를 감아 붙였다. 바이러스가 바로 침투할 수 있는 코와 입은 마스크를 ... ...
- 100년 전 수첩에서 유령입자까지 남극 미스터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탐사하던 중, 얼음 밑에 숨어 있는 호수를 발견했지요. 이렇게 수백 미터에서 수천 킬로미터 두께의 빙하 밑에 있는 호수를 ‘빙저호’라고 불러요.빙저호는 두 가지 원인으로 얼음이 녹아 생겨났어요. 첫 번째는 지구 내부의 열이에요. 지구 내부는 구성 물질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1000℃ ... ...
- 데이노케이루스가 전하는 거대공룡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약 26m무게 60톤 이상몸집 키우고 목 늘이고 초대형 생존 전략중생대에는 몸길이가 수십 미터나 되고 몸무게가 수십톤이나 되는 공룡들이 지구를 지배했지만, 지금은 모두 사라졌어요. 당시 공룡들은 어떻게 그런 거대한 몸집으로 진화할 수 있었을까요? 또 어떠한 생존 전략을 가지고 있었을까요 ...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미끄러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연구자들은 바나나 껍질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봤어. 그 결과 껍질 안쪽이 수 마이크로미터(μm)의 동글동글한 과립들로 이뤄져 있다는 걸 알 수 있었어. 과립들은 아주 얇은 막으로 둘러싸인 젤(gel)상태였지.그런데 껍질을 밟는 순간 이 과립들이 짓눌리고 막이 터지면서 안에 있던 내용물들이 ...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지금의 콩고민주공화국)에서 1976년 첫 발견.생김새 길쭉한 실 모양. 지름이 약 80㎚(나노미터, 1㎚=0.000001㎜, 길이가 약 970㎚.정체 바이러스. 한 마디로 생물이 아니다! 세포보다 약 100분의 1만큼 작다. 단백질 캡슐 안에 유전물질을 가지고 있어, 생물처럼 자손을 번식할 수 있다. 하지만 스스로 살아갈 ... ...
- [hot science] 콘돔, 부끄럽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정자와 바이러스를 모두 막을 수 있도록 설계된 겁니다.”정자의 최대 지름은 3000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 성병 중 하나인 임질의 원인균 지름은 800nm다. 그리고 HIV의 지름은 125nm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실험 결과에 따르면, 콘돔을 주욱 잡아 늘린 상태에서도 병원균과 바이러스가 통과하지 못했다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