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질
불치
뉴스
"
난치
"(으)로 총 590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연물 신약, 이렇게 하면 쉽고 정확하게 개발
2016.05.10
“표적 단백질 결정 기술은 천연 화합물에서 신약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난치
병의 원리를 규명하는 데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천연물 분야 학술지 ‘내추럴 프로덕트 리포트’ 4일자에 실렸다. ... ...
DNA ‘스위치’ 찾았다…유전자 질환 치료 청신호
2016.05.03
연구결과가 게재된 국제학술지 표지사진 - KAIST 제공 유전자 이상으로 생기는 각종
난치
병을 손쉽게 치료할 수 있는 길을 국내 연구진이 열었다. 박현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은 ‘핵산중합효소’의 활성을 가역적으로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핵산중합효소는 DNA 내부에 ... ...
유방암 ‘유전자 백과사전’ 나왔다
2016.05.03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공 교수팀은 동서양의 유전체 차이에 따라
난치
성 유방암 발생에 어떤 특이점이 있는지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유방암 발생에 관여하는 주요 암 유전자 30개를 에스트로겐 수용체 음성과 양성으로 나눠 정리했다. - 한양대 의대 ... ...
신약개발 골칫거리 ‘스크리닝’ 과정 손쉽게 바뀐다
2016.04.05
초고감도 약물 스크리닝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최근 단백질 반응을 이용해
난치
성 질환을 치료하는 기법이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단백질을 이용한 스크리닝 기법은 기술적 한계를 보여 실용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진은 피코몰(picomole·1조분의 1몰) 수준의 극미량만으로 단백질 ... ...
[꿀잠 잡시다!]온몸 근육 흐물흐물해지는 느낌으로 긴장 풀어라 外
동아일보
l
2016.04.04
더불어 조기 치료가 활성화되고 다양한 치료적 자원이 제공되면서 조현병은 더 이상
난치
병이 아니라 관리와 회복이 잘되는 질병 중 하나가 되고 있습니다. 김성완 전남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광주북구정신건강증진센터장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 ...
비슷한 희귀질환 앓고 있지만… 두 번 우는 환자들
동아일보
l
2016.03.28
발생한 다른 환자들은 치료비 대부분을 지원받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신현민 한국희귀
난치
성질환연합회장은 “돈이 없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희귀질환자는 10만 명가량으로 추산된다. 이들에게 전향적으로 지원을 늘리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특례 대상에 한번 포함시키면 ... ...
희귀 장질환 크론병 절반이 20, 30대
동아일보
l
2016.03.07
우려가 높고 완치가 잘되지 않는 희귀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크론병은 법적으로도 희귀
난치
질환 산정특례 대상이어서 병원 진료 시 전체 진료비의 10%만 부담하면 된다.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즐겨입는 2 ... ...
“제대혈, 미용-성형-노화방지 목적으론 사용 못해”
동아일보
l
2016.03.07
탯줄 속 혈액을 말한다. 출산 시 채취해 냉동 보관했다가 향후 본인이나 부모 형제 등이
난치
병에 걸렸을 경우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제대혈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을 만드는 조혈모세포가 풍부해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등 혈액질환에 주로 사용돼 왔다. 유근형 기자 noel@donga.com ... ...
[‘한강의 기적’ 일군 과학기술 50년 下·끝] 출연연 벽 허물고 뭉친 ‘어벤저스’
2016.02.19
끌어올리는 시스템을 개발해 보급할 예정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줄기세포로
난치
병과 암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줄기세포 유래 맞춤형 융복합 NK세포 치료제 개발’ 융합연구단을 이끌고 있다. 또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해 싱크홀 등 지하 매설물 붕괴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 ...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현실로?
과학동아
l
2016.02.08
3년 전 ‘크리스퍼’ 라는 간편한 기술이 개발되면서 각광받기 시작했다. 향후 각종
난치
병을 치료할 것으로 기대되는 획기적인 기술이지만 ‘맞춤형 아기’ 등 생명 윤리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영국의 비영리단체 ‘인간유전학경계(Human Genetics Alert)’의 회장인 데이비드 킹 박사는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