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질
불치
뉴스
"
난치
"(으)로 총 590건 검색되었습니다.
효과 좋은 신경 치료용 줄기세포치료제 나온다
2015.11.22
치료가 가능하다”며 “신경세포를 비롯한 다른 세포에도 이 기술을 적용하면 향후
난치
병 치료에 필수적인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성과는 학술지 ‘케미스트리 앤 바이올로지(Chemistry & Biology)’ 19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치사율 3위, 패혈증 신약 단초 찾았다
2015.10.07
패혈증은 전신에 염증 반응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전 세계에서 3번째로 사망률이 높은
난치
성 질환이다. 하지만 미국 식약처(FDA)가 승인한 유일한 패혈증 치료제 ‘자이그리스’가 부작용과 낮은 효능으로 2011년 시장에서 퇴출되면서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다. 배종섭 경북대 약대 교수와 ... ...
간암 악화시키는 유전자 10개 찾았다
2015.08.31
사실을 확인했다고 31일 밝혔다. 간암은 중·장년층 암 사망률 1위를 차지하는
난치
성 질환이지만 현재 사용 중인 간암세포 표적치료제는 환자의 생존 기간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높지 않다. 최근에는 세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가 암세포의 악성화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 ...
노벨상 받았던 ‘소포체’ 형성원리, 국내 연구진이 밝혔다
2015.08.26
결함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성 강직성 하반신마비’ 같은
난치
성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사람의 세포를 이용해 질병 발생 원리를 알아보는 연구를 추가로 진행 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네어 단백질과 아틀라스틴 단백질이 막 융합을 일으켜 소포체 ... ...
세포 자정작용 이용…신개념 항암 치료법 나왔다
2015.08.19
때문에 세포청소에 관여하는 RNA 간섭(RNAi) 현상을 이용한 유전자 조절기술이 암과 같은
난치
성 질환 치료법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원하는 세포에 siRNA를 전달하는 기술이 없어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실험실 수준에서는 암세포 증식을 막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만큼 ... ...
중증 천식 치료 신약 10억 원에 기술이전
2015.08.16
국내 연구팀이 개발한 천식 치료제가 정액기술료 10억 원에 기술이전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기초연계후보물질 발굴사업을 통해 동국대와 고 ... 듣지 않는 중증 천식환자는 전체의 5% 정도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인 만큼 이번 신약이
난치
성 천식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 ...
난치
성 신경질환치료 청신호… 뇌 세포 신경전달 과정 알아냈다
2015.08.11
이남기 교수(왼쪽 사진)와 김기문 단장 - IBS 제공 우리가 감정을 느끼고, 행동하는 모든 일은 두뇌 활동의 결과다. 뇌 속 신경세포의 신경전달물질이 다른 신경세포로 전달되는 과정을 통해 이뤄진다. 국내 연구진이 신경세포에서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는 과정을 세계 최초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 ... ...
난치
성 염증 질환, 패혈증 치료 가능성 열렸다
2015.07.27
충남대 교수. - 충남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패혈증을 비롯해
난치
성 염증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돌파구를 마련했다. 조은경, 육재민 충남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팀은 핵수용체로 불리는 새포내핵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해 염증 억제 단백질을 활성화시킨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면역(Immunity ... ...
[Health&Beauty]7000개 희귀질환 중 5%만 치료제 존재
동아일보
l
2015.07.08
질환의 치료제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원인 모를 병’으로만 기록되던 희귀·
난치
성 질환들은 긴 시간의 연구개발을 통해 그 치료 방법이 밝혀지고 있다. 희귀질환에 대한 정의는 나라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발생률이 인구 1000명당 0.65∼1명 규모일 경우를 희귀질환으로 ... ...
난소암으로 별세한 UNIST 교수의 ‘마지막 논문’
2015.07.07
개발할 수 없었던 병원체나 에이즈처럼 한 번 감염된 뒤에도 항체가 잘 생기지 않는
난치
성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가 실린 논문이 완성된 건 1년 전이지만 심사 과정에 여러 차례 추가 실험 요구에 따라 지난달 30일에야 비로소 빛을 볼 수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