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질
불치
뉴스
"
난치
"(으)로 총 590건 검색되었습니다.
황우석 줄기세포 스캔들 그 후 10년
2014.09.19
안에서 생성되는 줄기세포를 의미한다. 모든 신체 장기로 분화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난치
병 치료 분야에서 특히 각광받고 있지만 배아줄기세포를 얻기 위해서는 배아를 파괴해야 하기 때문에 윤리적인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10년 전 황우석 스캔들 이후로 인간배아줄기세포 ... ...
게임으로
난치
병 치료할 수 있을까
2014.08.26
면역체계가 신경섬유 주위의 보호막을 공격해서 일어나는 것으로 아직 치료제가 없는
난치
성 질환이다. 다발성 경화증이 진행되면 균형 감각이 없어지고 운동 신경이 둔해져 넘어져 다치는 환자가 많다. 일본 닌텐도사(社)의 게임기인 '닌텐도 위(Nintendo Wii)'로 요가 게임을 즐기고 있다. - ... ...
게임만 했는데 3차원 뇌지도 제작이 끝~
과학동아
l
2014.08.12
황창규 KT 회장은 “KT는 앞으로도 미래융합서비스 ‘헬스케어’를 통해 질병 예방과
난치
병 치료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KT는 5월에도 서울대 생명공학공도연구원과 협약을 맺고 바이오인포매틱스센터를 공동 설립할 계획이다. 오픈와이어 게임화면. 뇌세포 영상을 실제로 연결해 보는 ... ...
난치
병 에이즈 감염 막는 원리, 국내 연구진이 밝혔다
과학동아
l
2014.07.21
국내 연구진이
난치
병인 에이즈(AIDS) 치료약 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과학적 사실을 규명해 냈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안광석 교수팀은 에이즈 바이러스에 억제 효과가 있는 효소의 과학적 원리를 규명해 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에이즈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AMHD ... ...
치매로 잃은 기억, 되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06.30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열었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켜 인지장애를 초래하는
난치
병으로 세계적으로 환자수가 3600만 명에 이른다. 이창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팀은 KAIST 등 국내외 연구팀과 공동으로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 발견되는 ‘반응성 ... ...
돼지, ‘인간화’ 되다!
과학동아
l
2014.05.09
김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돼지는 암이나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등 다양한
난치
병 치료와 장기이식에 활용될 수 있다”며 “우리나라의 생명공학 기술을 세계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성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5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건국대 ... ...
당뇨병 환자 피부세포로 배아줄기세포 추출 최초 성공
과학동아
l
2014.04.29
당뇨병 치료에 활용하려는 시도는 처음”이라며 “줄기세포가 다양한
난치
병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연구”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배아줄기세포를 환자에게 이식해 당뇨병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는 지 후속 논문을 통해 증명해야 진정한 의미의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 ... ...
위독한 신생아에 박테리아가 특효약?
과학동아
l
2014.04.21
더 좋을 수 있다. 연구팀은 “사람의 경우에도 박테리아 이식을 통해 박테리아성
난치
병을 치료한 사례가 있다”며 “동물실험이지만 어린 개체에서도 이 방법이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밝혀진 만큼 면역력이 떨어져 위독한 인간 신생아의 치료법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 ...
황우석 박사 실패한 인간배아줄기세포 확립 성공
과학동아
l
2014.04.18
이용해 체세포 복제 인간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난치
병 환자의 피부세포(체세포)에서 줄기세포를 만들어 맞춤형 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명공학 분야 권위지인 셀의 자매지 셀스템셀 17일자에 실렸다. ... ...
줄기세포계는 춘추전국시대
과학동아
l
2014.04.18
노리고 있다. 한때 난자를 사용한다는 윤리적 문제 때문에 주춤했지만 2009년 미국이
난치
병을 다스리려면 배아줄기세포도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규제를 풀면서 기사회생할 수 있었다. 이때부터 상업적 임상연구도 시작됐으며 지난해에는 일본도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