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1,019건 검색되었습니다.
"혈압·혈당 측정하는 피부 패치 개발"
연합뉴스
l
2021.02.16
정확하고 신빙성 있는 측정이 가능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한 쌍의 스크린 프린트
전극
이 화학 센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 하나는 미니 전기 자극으로 세포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간질액(interstitial fluid)을 방출시켜 혈당을 측정한다. 다른 하나는 필로카르핀(pilocarpine)이라는 약을 이용, 땀을 ... ...
1만번 접었다 펴도 '괜찮아'…접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동아사이언스
l
2021.02.14
태양전지의 장점이다. 다만 지금까지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투명
전극
소재로 인듐주석산화물(ITO)이 주로 사용됐는데, 이 소재가 여러 차례 접거나 휘면 깨지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진은 ITO를 대체하기 위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가 박힌 폴리이미드(PI)로 이뤄진 투명 전도체 ... ...
"태양광으로 전기 생산" 차세대 투명 태양전지 개발
연합뉴스
l
2021.02.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얇은 광 흡수층과 양면 투명
전극
이용으로 자연스럽게 투광성을 확보할 수 있어 기존 기술보다 공정이 간단하고 제작 시간도 줄일 수 있다. 얇은 광 흡수층 탓에 발생하는 효율 저하 문제는 나노 표면구조를 갖는 저반사 광 산란층을 설계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인체에 안전하면서 강력한 살균수는 없다
2021.02.03
양에 따라서 실제로
전극
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이 달라질 수 있다. 자칫하면 환원
전극
(음극)에서 폭발성 수소 기체가 발생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가정에서 물을 전기분해야 할 실용적인 이유가 없다. 일상생활에서는 비누로 씻기만 해도 충분한 살균 효과가 나타난다. 심지어 코로나19를 ... ...
돼지 이어 원숭이 뇌에 칩 심은 일론 머스크, 생각으로 게임하는 원숭이 곧 공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있다. 뇌에 칩을 심는 시도는 이미 세계 곳곳에서 이뤄지고 있다. 의료계에선 뇌에
전극
을 심어 사지마비 환자가 로봇을 장착하고 걷게 만드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프랑스 그르노블대 연구팀은 2019년 사지마비 판정을 받은 청년의 뇌 속에 2개의 칩을 심어 뇌 신호만으로 외골격로봇을 ... ...
인공 뇌 신경회로 분석할 3D
전극
시스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8
실리콘 탐침 63개로 구성된 측정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를 인공 뇌에 꽂으면 탐침에 달린
전극
이 뇌의 신호를 측정한다. 탐침 내부에는 광섬유와 약물 전달 통로가 설계돼 있어 뇌세포에 빛이나 약물 자극도 가능하다. 조 책임연구원은 “탐침의 두께가 작아 뇌 회로를 망가뜨리지 않고 신호를 ... ...
웨어러블 기기 적용 친환경 나노발전기 개발 청신호
연합뉴스
l
2021.01.25
구분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사극
전극
, 샌드위치
전극
으로 구성된 이종
전극
시스템은 고온 열처리를 할 필요가 없는 장점 때문에 다양한 바이오 물질의 압전 및 변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널리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 ...
딱딱한 집게형 대체할 손가락장갑형 심박수 측정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4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이 책임연구원은 “섬유형 소자 개발에 있어 과제로 남아있는
전극
형성 기술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며 “섬유형 광전자소자의 성능 향상과 복잡한 회로를 가지는 섬유형 전자소자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특정 공간과 장소 찾아가는 뇌 전략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9
추정됐지만 구체적인 기능을 파악하지 못했던 해마의 소영역인 CA1과 CA3에 실리콘 탐침
전극
을 심어 신경세포 활성도를 분석했다. 두 실험을 진행한 결과 해마는 공간과 위치, 물체의 상황과 환경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뇌 영역과 별개의 입력장치 및 정보처리 전략을 활용하는 현상이 관찰됐다 ... ...
로봇을 보는 순간 실험쥐들 머리의 LED가 동시다발로 반짝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행동과 뇌 신호 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뇌에
전극
을 꽂아 실시간으로 뇌 신호를 처리하는 초소형 프로세서와 LED를 결합해 뇌파를 빛으로 바꾸는 뇌파측정시스템 ‘씨브레인’을 개발했다. 신호가 나오는 뇌 영역에 따라 다른 색을 띠고 신호가 강할수록 밝은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