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사례
실례
지위
처지
기회
케이스
d라이브러리
"
경우
"(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동해안에 돌고래가 와글와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10차례에 걸쳐 14마리가 목격됐고, 참돌고래의
경우
한 번에 2300여 마리의 무리가 관찰된
경우
도 있대요.고래연구소는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동해안에 돌고래들이 얼마나 사는지, 또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해 더 조사할 계획이랍니다 ... ...
변신의 달인. 비타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소변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몸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해.NO!비타민 C는 많이 섭취할
경우
흡수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너무 많이 먹을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들도 있어. 실제로 1996년 미국 국립과학원회보의 연구에 따르면, 염소가 만드는 양과 비슷한 12g의 비타민 C를 하루에 먹었더니 ... ...
오싹오싹 짜릿짜릿 공포의 숲을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유전될 수 있다는 이론도 있다.➋ 과거가 만드는 공포?공포심은 경험에 의해 생기는
경우
가 많다. 어렸을 때 물에 빠져 죽을 뻔했던 기억이 있다면 물을 무서워할 가능성이 높다. 또 부모님이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물은 위험하고 빠지면 죽을 수도 있으니 조심하라고 하는 이야기를 계속 듣고 ... ...
영화 오션스의 주인공은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한다. 리본장어와 혹돔자라면서 수컷에서 암컷으로 변하는데, 리본장어(오른쪽)의
경우
몸 전체가 파란색이면 수컷이다. 혹돔(왼쪽)은 덩치가 크고 강한 자만이 수컷이 된다. 스톤피시돌처럼 위장하고 가만히 있다가 한 순간에 먹이를 잡아먹는다. 등에 독가시가 가득하다. 최고 중에 최고만 ... ...
나로호 2차 발사 실패, WHY ?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가능성 ❶ 1단 로켓의 엔진이 폭발했다?이번처럼 로켓과 통신이 갑작스레 두절되는
경우
엔 엔진이 폭발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공개한 나로 호 위쪽 카메라에 기록된 영상을 보면, 이륙 직후에는 계속 어둡던 화면이 갑자기 번쩍하며 밝아지고 있어. 이 시점이 바로 ... ...
대칭 vs 비대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경우
는 그 모습이 비대칭이다. 돌려나기 중에서 마주나는 쌍들이 줄기를 따라 돌려나는
경우
가 있다. 이것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잎끼리 서로 겹치지 않는 비대칭이다. 수직으로 내려오는 빛을 서로 가리지 않으려면 줄기를 중심으로 돌려나는 것이 가장 좋기 때문이다. 돌려나는 잎들은 서로 약 137. ... ...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있다.그럼에도 “이거다!”하는 동성애 유전자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아마도 키의
경우
처럼 성적 취향을 결정짓는 데는 많은 유전자가 부분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 태아 시절의 우발적인 태내환경변화, 즉 남성호르몬 농도 변화나 영양상태 등이 적지 않게 작용할 것이다. 아무튼 일단 ... ...
노력은 열정에 비례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맞다는 것도 알게 됐고요.” “특목고가 좋다니까 일단 가고 보자며 잘못된 선택을 하는
경우
가 많아. 하지만 곧 자기 길이 아니란 걸 깨닫고 후회하게 되지. 그렇다고 방법이 아주 없지는 않아. 외고에서도 충분히 자연계 진학을 할 수 있단다. 네가 가고 싶어하는 KAIST에도 그런 길은 분명히 열려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답안의 형식을 보고 간단한 개요를 작성한 후에 써보면 실력이 향상된다. 수리 논술의
경우
에도 마찬가지로 잘 정리된 문제집의 해설을 참고해 써보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서울대 논술의 기본적인 평가요소를 분석했으면 이제 기출문제를 분석해 실전에 대비해야 한다. 2010학년도 서울대 정시 ... ...
맞춤의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암연구소 김성진 소장은 “폐암 가운데 EGFR이란 성장인자수용체의 돌연변이가 원인인
경우
는이레사가 잘 듣는다”며 “따라서 암세포의 EGFR 유전자를 검사한 뒤 이레사 투여여부를 결정한다”고 설명했다. 10년 뒤에는 이레사처럼 특화된 항암제가 많이 쓰일 것이다.김 소장은 국내 최초로 개인게놈 ... ...
이전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