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시장이 1000조 원 규모인 것은 맞지만, 우리 기술 수준을 감안하면 잘해야 5~10조 원을 우리나라가 챙길 수 있을 것”이라며 “그것도 2050년까지 모두 합친 비용으로, 햇수로 나누면 1년에 1조 원도 안 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거품이든 아니든, 원전해체는 여전히 뜨겁다. 그리고 발등의 불은 시간이 ... ...
- [Hot Issue] 누구도 완벽한 결정을 내릴 순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잘못된 결정이라고 생각한 것이 길게 보면 큰 도움이 되기도 한다. 이렇듯 우리 삶은 우리도 알 수 없는 일투성이다. 나의 한계를 인정하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라는 이야기다. 주위 사람의 시선을 이겨내는 것도 우유부단함을 탈출하는 중요한 비법이다. 아직 일어나지도 않은 실패와 가상의 눈총 ... ...
- [지식] 유리를 샌드위치처럼 만들면 어떨까?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와그작!”이 소리는 누군가 단무지를 씹어 먹는 소리…가 아닌 안전유리가 깨지는 소리다. 보통 유리는 ‘와장창’하고 수천 조각으로 ... 한 남자의 우연한 발견은 여전히 사람의 생명을 지켜주고 있다. 앞으로 또 다른 모습으로 우리의 건강을 지켜줄 안전유리, 강화유리를 기대해 본다 ... ...
- 두 번째 요리 모두에게 공평하게, 국수와 만유인력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생각이 사람들 사이에 퍼져 나갔습니다. 만약 뉴턴이 만유인력을 발견하지 못했다면, 우리는 어떤 세상을 살고 있었을까요? 만유인력의 법칙은 표절이다?뉴턴이 만유인력 법칙을 발표하자 옥스퍼드대의 기하학 교수였던 로버트 후크는 뉴턴을 표절자라고 맹비난 했습니다. 후크는 힘이 거리의 ... ...
- [Knowledge] 우주 면역력, 비타민이 필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현대인들은 자체적인 항산화 효소만으로 건강을 지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그래서 우리가 비타민 A, C, E를 열심히 먹는 거라네. 열무․피망․시금치․딸기․오렌지․사과 등 과채류를 많이 섭취하면 좋지만, 그러자면 우주농장이 이것들을 키울 때까지 기다려야 하니까.” 보이지 않는 몸 속 ... ...
- 2015 지구사랑탐사대 모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찾은 밀원식물을 감수하고 어떤 식물이 중요한지 직접 알려 주실 거랍니다. 또 우리 주변의 다양한 식물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식물 탐사가 추가돼요.각 탐사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는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earth)의 공지사항을 참고해 주세요~.4 공지사항 등 꼭 필요한 내용은 어디서 볼 수있나요 ... ...
- Intro. 도시생태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우리집에는 골칫덩어리가 하나 있어. 집과 밖을 오가는 자유로운 외출고양이 ‘우롱’이가 바로 그 주인공이야.한겨울이라 외출도 금지했건만, 일주일에 한 두 번씩은 몰래 도망쳐서 놀다 오는 거 있지? 아닌 척 시침을 떼지만 새카맣게 변한 발바닥이 그 증거라고!유난히 잠이 오지 않던 밤, ... ...
- 귀여움이 생존전략인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강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처음 의도한 바와 다르게 사용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우리는 귀여운 동물을 보면 마치 사람의 아기처럼 돌봐 주려고 하지요. 인간의 아기는 직립보행으로 인해 미숙아로 태어나기 때문에, 양육행동이 일어나는 시작점이 아주 낮게 맞춰져 있어요. 그래서 귀여운 모습이 ... ...
- Part 2. 도시에선 고양이가 최고 포식자!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된 이유는?길고양이가 많이 보이는 이유는 간단해. 도시에 잘 적응했기 때문이야. 우리 고양이들은 원래 야생에서 살았어. 산에서 흘러들어온 야생고양이와 시골에서 키우던 ‘쥐잡이’ 고양이들이 도시로 변한 자신의 영역에서 계속 번식해 사람들이 ‘코숏’이라고 부르는 길고양이로 변했지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대세다. 그런데 TV가 넓다 보니 가장자리 화면이 눈에 선명하게 들어오지 않는다. 우리 눈에 들어온 빛은 안구의 안쪽에 오목하게 맺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점은 곡면TV를 통해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 곡면TV의 화질은 바로 화면의 곡률(곡선이 굽은 정도)이 좌우한다. 이때 적절한 곡률은 화면의 ... ...
이전518519520521522523524525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