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차세대 친환경 비행기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상업용 여객기의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80% 줄이겠다는 목표까지 세웠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는 어떤 차세대 친환경 비행기를 개발해야 할까요. 지금부터 과학동아항공이 마련한 차세대 비행기 설계안을 토대로 구조부터 항법까지 차근차근 뜯어보겠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차세대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쓰기에는 아직 부작용이 큽니다. ‘오프 타겟’ 효과라고 하는데 쉽게 설명하면
우리
몸의 정상 RNA와도 결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 기술의 현재 오차율은 대략 10%입니다. 티케이엠-에볼라도 임상시험 1단계에서 부작용으로 중단된 상태입니다. 몇몇 환자가 발열증상을 호소했거든요. 개발사인 ... ...
[Knowledge] 어느 날 멈춰있던 땅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우리
는 움직이는 땅 위에 살고 있다. 여러분이 이 글을 읽고 있는 순간에도, 지구의 표면을 구성하는 열 개가 넘는 판들은 손톱이 자라는 속도(1년에 4~5cm)와 비슷한 빠르기로 이동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화산과 지진의 원인으로 꼽히는 판구조 운동이다. 하지만 지구가 태어나자마자 판이 움직인 ... ...
[Hot Issue] 실감나는 영화 속 그래픽 비결은 수학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다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또렷해진다. 도대체 이게 가능할까. 영화 속 수준은 아니지만,
우리
는 이미 이런 기술을 갖고 있다. 오래 전에 찍은, 해상도가 낮은 화상을 높은 해상도로 다듬는 기술이다. 정지화면뿐 아니라 움직이는 영상도 해상도를 높인다. 지금의 풀에이치디(Full HD) 화면보다 몇 배 더 ... ...
뜨거운 태양이 연구실에? 인공태양 케이스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주요 선진국들과 함께 참여하게 되었어요. 친구들이 어른이 됐을 땐
우리
나라 기술로 만든 깨끗한 핵융합 에너지를 이용하게 될지 몰라요. 매연 없이 상쾌한 세상, 상상만해도 즐겁지 않나요 ... ...
[Life & Tech] 한류스타가 내게 문자를?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뉴스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실적이 좋지 않았습니다. 2주 만에 내린 결론은 ‘
우리
가 잠금화면은 잘 만드니까 다른 것도 해보자’라는 거였죠.”그렇게 탄생한 게 마이돌이다. 시쳇말로 ‘대박’이 났다. 아이돌 인피니트의 잠금화면은 하루만에 3~4만 명이 다운로드 받았다. 정식 서비스를 ... ...
[Knowledge] 3할 타자는 최고의 타자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토했으며, 2004년에는 262개의 안타를 치며 메이저리그 역대 최다안타 기록을 갈아치웠다.
우리
에게 ‘입치로’로 유명한 스즈키 이치로다.2004년 최다안타 기록을 세운 이치로의 타격 성적을 자세히 살펴보자(다음페이지 위쪽). 그래프 속 지표 모두 타자의 실력을 설명하는 지표다. 재밌는 점은 각 ...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그릴 수 있죠. 삼각함수는 파동을 표현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양자세계에선
우리
의 모습을 삼각함수로 그릴 수 있다는 말입니다.중첩은 파동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계속 겹쳐 있다는 뜻이죠. 수학적으로 중첩은 곱셈으로 표현됩니다. 파동은 삼각함수로 중첩은 곱셈으로! 이제 감이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다른 부분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되기도 한다.쌍곡 기하학 평면 위의 이상적인 삼각형보통
우리
가 평면이라고 알고 있는 것은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말하는 평면이다. 이런 평면 위에서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다. 그러나 쌍곡 기하학 평면 위에서는 삼각형 내각의 합이 180°보다 작다. 오른쪽 그림은 ... ...
말과 코뿔소의 고향은 인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무시무시한 뿔을 가지고 있기도 하지만, 이는 스스로를 보호할 수단일 뿐이에요.
우리
는 풀을 뜯어 먹는 초식동물이어서 남을 공격하는 데는 전혀 익숙치 않지요. 게다가 하루에 먹는 풀의 양이 엄청나서 먹이를 구하느라 지구를 정복할 시간도 없답니다~ ... ...
이전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