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8. 한국 수학의 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때 시간이 무한히 많고 공이 계속해서 움직인다는 가정을 하면 당구공이 당구대의 모든
곳
을 지난다는 이론이야. 교수님은 이 이론을 이용해 무리수를 아주 가까운 유리수로 나타내는 방법인 리틀우드 추측을 해결하셨어. 리틀우드 추측은 80년간 미해결 문제로 있었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신호는 도로 관리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램프는 회전 반지름이 큰곡선 모양으로 만든다. 동서남북에 각각 하나씩 램프를 설치한
곳
은 전체 모양이 클로버잎을 닮았다고 해서 클로버형 입체교차로라고도 한다.도시에는 크게 돌아가는 램프를 지을 공간이 부족하다. 그래서 고가 도로의 형태로 입체교차로를 만든다. 동서와 남북으로 ... ...
도로 해부하기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시속 60km인 도로에서는 반지름이 150m를 넘어야 안전하다.보통 곡선 구간이 시작하는
곳
에는 ‘완화곡선’을 넣는다. 완화곡선이란 직선에서 시작해서 점점 곡선의 휘는 정도를 늘여 곡선 구간의 회전 반지름과 같게 맞추는 것이다. 곡선 구간에 완화곡선을 넣으면 직선 구간에서부터 운전대를 ... ...
야구장은 도형의 집합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심판이 있는
곳
에는 지름 10m 내외의 원이 그려져 있다. 이처럼 선수들이 많이 움직이는
곳
은 잔디 없이 흙으로 원 모양을 만들었다.내야와 외야 사이에는 잔디선이라 불리는 둥근 곡선이 보인다. 잔디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으로 곡선을 나타내지만 흰색 줄로 긋기도 한다. 이 곡선의 중심은 ... ...
바나나킥의 비밀은 충분한 거리와 속도!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슛’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연구팀의 데이비드 퀘레 박사는 “골문에서 35m나 떨어진
곳
에서 시속 130km의 빠른 속도로 찬 공이었기에 환상적인 곡선을 그리는 골이 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이 연구는 앞으로 공기나 물에서 회전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줄 ... ...
수학으로 물든 제주도! 2010 제주수학축제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있는
곳
이었어. 창간호부터 9월호까지 수학동아가 한 줄로 전시돼 있었지. 이
곳
저
곳
에 흩어져 수학동아를 읽고 있는 친구들을 만나 보았어. 2010년 2월호 특집이었던 ‘뫼비우스 행성 탐험기’를 읽던 친구가 즐거운 수학을 기사로 만들어 줘서 고맙다고 말해 감동받았어.또,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가 ... ...
[생물] 생물과 환경의 관계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있을 것이다. 요컨대 빛의 파장과 수심의 관계 때문에 환경의 차이가 발생했고, 깊은
곳
으로 갈수록 홍조류가 많이 살게 됐다. 3. [난이도 상] dN/dt=rN 형태의 단순한 수리적 모델은 개체군이 무한정 커질 수 있음을 내포한다. 하지만 실제로 개체군의 크기에는 한계가 있다. 주어진 환경에서 무기한으로 ... ...
When Animals Think and Talk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있다. 그러나 우리는 종종 우리 자신을 지적능력의 피라미드, 혹은 먹이사슬의 가장 높은
곳
에 위치시키곤 한다. 그러면서 우리 자신에게 다른 동물을 우리 마음대로 다룰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이것은 정당한 일인가? 최근의 과학적 발견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 동물은 인간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생각해봐야 한다. 최근 열권의 급격한 축소변화를 감지한 이때에, ‘열권은 우리와는 먼
곳
의 일이니까…’라며 가볍게 넘기기만은 어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하늘이 사라진다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 ...
세계가 들썩이는 산업비타민 전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해 화제가 됐다. 볼리비아 우유니 지역의 소금호수는 전세계 리튬의 50%가 매장돼 있는
곳
으로 알려져 있다.이 계약이 성사된 것은 우리나라가 보유하고 있는 리튬 개발 기술 덕분이다. 침전제와 흡착제를 이용해 소금 호수 바닥에서 리튬을 분리해 내는 기술이다. 한국광물자원공사와 ... ...
이전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