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로마는 고대와 현대가 공존하는 도시다. 2000년 전 고대 도시지만 아직까지 현대 로마 곳곳에 흔적과 윤곽이 뚜렷해 디지털 복원이 상당히 수월하다. 이에 비해 부여에선 1400년의 흔적을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상가, 아파트, 도로 등 각종 현대 건축물만이 옛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하지만 복원을 ... ...
- ‘바이러스’의 두 가지 정의과학동아 l2010년 10호
- 간다. - 잠복기가 존재한다(유전 정보에 끼어들어 나중에 복제된다). - 초기 감염된 곳에서 여러 장소로 퍼진다. - 작은 코드(암호)로 이뤄져 있다. ② 차이점 생물 바이러스 - 명확한 실체물이 있다. - 진화해 탄생됐다. - 진화해 새로운 종을 감염시키거나 새로운 증상이 나타난다. - 증식이 목적이다. ... ...
- [통합과학] 메탄하이드레이트 추출과 CCS기술과학동아 l2010년 10호
- x(km)인 지각 기둥을 가정하자. 이 기둥의 무게는 다음과 같다. . 지표에서 x만큼 깊은 곳에서의 압력은 다음과 같다. P(x)=1+300x (∵대기압 = 1bar) 온도와 압력이 각각 임계 조건 이상의 값을 만족하는 환경이어야 하므로, 이산화탄소는 25x≧30, 1+300x≧74를 동시에 만족하는 깊이인 x=1.2km 이상의 지각 ... ...
- 큰 소리의 대결수학동아 l2010년 09호
-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다. 전화벨 소리가 70dB, 소음이 심한 공장의 소리가 90dB, 1m 떨어진 곳에서 듣는 자동차 경적소리가 110dB인 것과 비교하면 큰 소리임에 분명하다.이 때문에 20dB의 차이는 100배나 큰 소리를 뜻한다. 낮시간 확성기의 소음이 80dB을 넘으면 벌금을 부과한다. 90dB이 넘는 소리를 8시간 ... ...
- 통계로 태어나서 통계로 죽는다?수학동아 l2010년 09호
- 말은 사실이었어. 내가 태어나서 하는 모든 행동이 모여 통계가 되고, 이 자료가 필요한 곳에서 활용되는 거야. 맞아, 우리 엄마는 이렇게 모인 통계를 아주 잘 쓰는 사람 중 한 명이시지.그러고 보니 키가 작아서 고민하던 5학년 때가 생각나네. 그때 키가 140cm로 우리 반 여자애들보다 작았을 뿐 ... ...
- 짜릿한 롤러코스터를 만들려면?수학동아 l2010년 09호
- 사이클로이드 곡선이 시작되는 곳은 직선보다 기울기가 가파르다. 따라서 가파른 곳에서 속력이 빨라지면서 직선에서 내려올 때보다 빨리 도착할 수 있다. 놀이공원의 롤러코스터, 스케이트 보드의 경기장, 수영장의 미끄럼틀은 사이클로이드 곡선의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한 예다.사이클로이드 ... ...
- 자료 정리의 달인, 통계수학동아 l2010년 09호
- 위해서 일주일 동안 여행을 가려고 합니다. 가장 먼저 무엇을 해야 할까요? 바로 여행할 곳을 정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해야 합니다. 여행지를 정한 뒤에는 가지고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일정을 짜고 경비를 예상합니다. 이렇듯 다양한 자료 속에서 나에게 유용한 정보를 찾고 만들어 내는 일을 ... ...
- “10년 후, 로봇이 한반도 지킨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손목형 컴퓨터에 전달해 준다.좀 더 정밀한 감시, 정찰이 필요할 때 건물 안 등 위험한 곳을 미리 들어가 보는 ‘휴대용 감시 정찰로봇’도 거의 완성단계다. 이 로봇은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 중이다. 탱크처럼 ‘캐터필러’로 움직여 계단도 쉽게 오르내리고, 카메라를 통해 적진을 살펴볼 수 ... ...
- 세상에서 가장 성스러운 강 2510km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점점 넓어져 이제는 사막처럼 변했다. 인도 서부 타르사막에서나 볼 수 있던 낙타가 이곳에서 유용한 교통수단이 됐다. 강물의 일렁임 대신 사막처럼 사구가 춤을 추고 멀리 시커먼 강물이 흘렀다. 머지않아 강물은 모래더미 속으로 사라질지도 모르겠다.산 자와 죽은 자들탐험을 하다보면 사람의 ...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디지털로 전환해 되살려 내는 ‘디지털프로세싱’ 기술을 썼지만 작업이 불가능한 곳은 서예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 그려 넣었다. 이렇게 영상을 뚜렷하게 바꾼 후 실물 현판 크기로 출력해 오 각자장에게 제공했다. 백 교수는 “5년 전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신인 한국문화재연구소를 방문해 ... ...
이전521522523524525526527528529 다음